지하철 준법투쟁에 '시민이 봉인가' 곳곳서 항의사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서울지하철공사 노조원들의 파업을 보는 시민들의 시각이 예전 같지 않다.

본격 파업도 아닌 전동차 운행을 지연하는 준법투쟁에도 격렬한 항의가 잇따랐다.

이 과정에서 승객.역무원 10명이 부상했으며 30여명이 폭행당했다.

또 승차권 환불 사태도 곳곳에서 벌어져 지하철공사.철도청은 승객들에게 승차권 반환.대체 교통비로 1천6백여만원을 지급해야만 했다.

결국 지하철 노조는 예정보다 하루 앞당겨 16일로 준법투쟁을 중단했지만 19일 파업에 돌입하게 되면 시민 불편은 극에 달할 전망이다.

서울시는 노조 파업에 따라 간부.비노조원 등 비상인력을 투입하는 한편 ▶시내버스 21개 노선 5백17대 연장 운행 ▶13개 노선에 여행사 전세버스 1백31대 투입 ▶모범택시를 제외한 1만4천여대의 개인택시 부제 해제 등을 통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그러나 이같은 대책에도 불구하고 지하철 편성 수 감소.지연 운행으로 인한 출퇴근길 승객들의 불편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또 대체인력이 투입되더라도 차량 정비.검수가 정상적으로 이뤄지기는 어려울 전망. 이에 따라 지하철 안전문제도 심각한 지경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김준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