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변 조직 된 자원봉사센터 민영화해 서비스 질 높여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3면

서울 A구청의 자원봉사센터는 구청이 직영한다. 자원봉사 사업을 민간에 위탁하다 2년 전 직영으로 바꿨다. 전임 구청장이 선거에서 떨어진 뒤 자원봉사센터를 위탁 운영하는 법인의 이사장이 되면서 관계가 껄끄러워졌기 때문이다. 직영이 되면서 상근직 6명 중 4명을 구청 공무원으로 임명했다. 서울시내 25개 구청 가운데 20곳이 이처럼 직영으로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자원봉사센터가 관변 조직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자원봉사포럼·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이병석 위원장(한나라당·포항 북구), 한국자원봉사센터중앙회는 10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자원봉사활동기본법 개정을 위한 토론회’를 열었다.

발제자인 한국자원봉사학회장 최일섭 전 서울대(사회복지학) 교수는 “직영으로 운영하면 시장·군수·구청장의 사기관으로 전락할 위험이 있다”며 “단체장의 임기에 따라 센터장이 바뀌고, 심지어 선거운동에 자원봉사단체를 동원하는 경우까지 있다”고 지적했다. 최 회장은 “자원봉사운동을 활성화하기 위해 만든 법이 오히려 민간 주도의 자원봉사 활동을 막고 있다”고 말했다. 자치단체가 재정적 지원을 하되 운영은 민간에 맡겨 자율성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김준목 한국자원봉사센터중앙회장은 “자원봉사센터는 봉사단체와 기업·시민 등 다양한 사람들을 지원하는, 봉사활동의 허브”라며 “민영화를 통해 자원봉사 서비스의 질을 끌어올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자원봉사센터 중앙회에 따르면 전국 248개 자원봉사센터 중 자치단체가 직접 운영하는 곳이 159개(64%), 비영리법인에 위탁 운영하는 곳이 70곳, 독립 법인이 9곳이다. 이에 대해 행정안전부 장만희 민간협력과장은 “장기적으로는 자원봉사활동의 순수성을 훼손하지 않기 위해 민영화로 가는 것이 맞지만 아직까지 자원봉사센터 행정·재정 측면에서 인프라가 부족한 실정”이라 고 말했다.

김경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