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 사정 어떻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김대중 대통령 취임 이후 계속돼온 정치인 사정 (司正) 은 사실상 일단락됐다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장외투쟁 강행 등 야당의 반발을 낳게 하며 지난 한햇동안 정치권을 소란케 했던 여야의 표적사정 공방도 비리혐의 정치인 9명에 대한 불구속 방침으로 수면 아래로 잠겼다.

남은 건 세풍 (稅風)에 연루된 서상목 (徐相穆) 의원 처리문제 하나다.

그러나 이마저 사정이란 본래 취지는 엷어지고, 여야 정치흥정거리로 바뀐 분위기다.

'국기를 문란케 한 중대사범' 운운하며 처벌의지를 강력하게 내비쳤던 여권도 몇개월째 체포동의안 처리를 미루고 있다.

"한나라당이 방탄국회를 열어 처리를 막고 있다" 고 설명하고 있지만 실제 표결처리를 강행할 의지가 있는지 의문이다.

지난주 말 총무회담 과정에서 여야 총무들의 설전은 徐의원건을 보는 정치권의 시각을 반영한다.

徐의원 체포동의안 처리 불가를 주장하는 한나라당 이부영 (李富榮) 총무는 "여당이 너무 徐의원건을 우려먹는다.

徐의원의 대선자금만 처벌하고 DJ 대선자금은 괜찮다는 말이냐" 고 공격했다.

이에 국민회의 한화갑 (韓和甲) 총무는 "한나라당에는 이회창 총재를 대신해 감옥갈 사람이 없느냐" 고 맞받아쳤다.

두 총무의 감정싸움 끝에 나온 말이지만 徐의원건이 정치흥정의 대상이 됐음을 말해주는 대목이다.

이전에도 크고 작은 총무협상 뒤엔 항상 '徐의원 카드' 가 따라다녔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28일 韓총무는 "徐의원 체포동의안을 이번 임시국회 폐회 직전인 8일이나 9일 상정할 방침" 이라고 밝혔다.

"이 문제까지 흐지부지하면 권력누수로 이어질 수 있다" 는 여권 일각의 우려를 반영하는 얘기다.

이것이 야당 압박용인지, 실제 체포동의안 강행으로 이어질 것인지는 조만간 판가름날 것이다.

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