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비엔날레 진통 계속…시민단체들 직제규정 반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8면

지난해 말 최민 전시총감독 해촉으로 촉발된 '광주비엔날레 진통' 이 2개월이 지나도록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달초 재단법인 광주비엔날레 이사회는 정관과 사무처 직제규칙을 개정했다.

이사장 선출방식을 광주시장 당연직에서 이사회 선출로 바꾸고 행정부시장.시립미술관장이 겸임하는 사무총장과 사무차장을 민간인 채용으로 하는 내용의 이른바 '민영화' 방안을 내놓은 것.

하지만 범미술인위원회 (위원장 김용익) 와 지난달 광주지역 시민사회단체.문화예술인을 중심으로 결성된 '광주비엔날레 정상화를 위한 대책위원회' (집행위원장 김윤기)가 '허울' 뿐이라며 이를 즉각 비난한데다, 최근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등 시민단체들이 가세해 재단 이사회 재구성을 요구하고 나서는 등 각계로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광주시민단체협의회는 24일 '광주비엔날레 제2의 창설' 을 위한 토론회를 연다. 반발의 가장 큰 이유는 개정이 겸직을 '민간인 채용 또는 시 공무원 파견.겸임' 으로 말만 바꾼 미봉책에 불과하다는 것. 이와 더불어 이사장을 뽑는 이사회를 민간전문인 중심으로 전면 교체해 이사장부터 '관 (官) 아닌 민 (民)' 으로 세워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광주시립미술관과 학예연구실 측은 "시립미술관과 재단의 분리 원칙을 세웠으니 지켜봐야 하지 않겠느냐" 며 관망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 '공무원 완전 배제' 를 요구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며 불만을 표시했다.

재단은 다음달 초 이사진을 30명으로 확충할 계획이다. 한편 지난 19일 이사진 18명중 강연균.오승윤.황영성씨 등 5명이 사퇴서를 제출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