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TK 진화 총력]의원.장관들 나서 민심달래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새 정권 출범 1주년 치적을 준비 중인 여권에 비상이 걸렸다.

야당의 잇따른 지방 옥외집회가 제일 큰 골칫거리다.

김대중 대통령이 "나는 영남권에서도 60%의 지지를 받고 있다 (세계일보 회견)" 고 밝히고 있지만 영남권을 중심으로 타오르는 지역감정은 어찌하기 어려운 상태이기 때문이다.

또 지난 1년의 경제개혁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둔 데는 노동자.학생 등의 자제도 크게 한몫했는데 야당이 이들 세력과 연계를 갖는다는 위기의식도 짙게 깔려 있다.

국민회의 김원길 (金元吉) 정책위의장은 "한나라당이 장외집회 장소로 빅딜과 관련있는 마산.이천.구미 등 특정지역만을 골라 경제회생과 재벌개혁에 찬물을 끼얹으려는 의도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고 비난했다.

일단 당 차원에선 대구.경북의 권정달 (權正達).장영철 (張永喆) 의원, 부산.경남의 서석재 (徐錫宰).노무현 (盧武鉉) 의원 등 영남출신 의원들을 해당지역에 상주시키며 "지역차별은 없다" 는 점을 바닥훑기식으로 홍보하고 있다.

김옥두 (金玉斗) 지방자치위원장 등 당 8역들도 영남권을 돌 계획이다.

정부 차원에선 김종필 (金鍾泌) 국무총리의 지난달 말 대구방문에 이어 4일부터 이규성 (李揆成) 재경부장관을 대구와 부산.경북도청에 보내고 이기호 (李起浩) 노동부장관을 울산에, 정해주 (鄭海주) 국무조정실장을 경남도청에 각각 보내 당정협의를 갖도록 했다.

특히 대구의 경우 지역숙원 사업인 섬유산업특별법 제정요구를 김원길 국민회의 정책위의장이 수용하겠다는 방침을 분명히 하는 등 '특수지역' 으로서 영남권에는 '특별대접' 이 이어지고 있다.

여권은 이같은 유화책과 함께 지역감정을 촉발하는 악성 유언비어가 계속 확산될 경우 이를 생산하고 유통시키는 근원지를 발본색원키로 하는 등 강경책을 병행추진할 작정이다.

'TK와의 정치적 연합' 'PK와의 민주대연합' 등 정계개편 차원의 시도도 포기하지 않는다.

다만 이해관계 세력들이 거센 반발 때문에 물밑으로 잠복했다.

전영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