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위천공단 지정방침에 부산.경남 반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국민회의 김원길 (金元吉) 정책위의장이 밝힌 위천국가산업단지 지정방침에 부산.경남지역 주민과 단체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金정책위의장은 지난 27일 대구지역 시민단체 '희망의 시민포럼' 초청특강에 앞서 배포한 자료를 통해 "낙동강 수질이 개선돼 여건이 성숙됐다" 면서 "조기에 위천국가산업단지를 지정하겠다" 고 말했다.

부산.경남지역 주민.단체들은 낙동강 전유역이 부산.경남 시민들의 취수원으로 이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위천공단 조성은 '절대불가' 라는 기존입장을 재천명했다.

이들은 위천공단 지정에 앞서 낙동강관리특별법 제정과 함께 낙동강 수질을 2급수 이상으로 개선할 것 등을 요구했다.

낙동강살리기 위천공단 결사저지 부산시민총궐기본부와 경남도의회 낙동강살리기 총궐기본부는 28일 각각 부산과 창원에서 긴급회의를 갖고 시민들의 총력을 모아 저지투쟁을 벌이기로 했다.

부산시민총궐기본부는 성명서를 통해 "金의장의 발언은 지역정서에 영합한 정략적인 것으로 위천공단 지정을 더 이상 정치권의 흥정도구로 삼지 마라" 고 경고했다.

경남총궐기본부도 "여권이 대구.경북권 민심을 돌리기 위해 위천공단 문제를 또다시 끄집어내 낙동강 하류 주민들의 생존권을 말살하고 나아가 상.하류 주민들의 갈등만 부추기고 있다" 면서 위천공단 조성계획 철회를 요구했다.

부산환경운동연합은 "부산.경남시민들이 줄곧 반대해온 위천공단 조성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도저히 용납할 수 없다" 고 말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지난해 낙동강 수질의 평균치가 2급수라 할지라도 연말부터 3~4급수로 악화됐으며, 낙동강 지류인 금호강이 낙동강 오염의 주범인 상황에서 수질개선책 없이는 절대 수용할 수 없다는 게 부산시의 입장" 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구시민들은 "때늦은 감이 있지만 당연한 조치" 라고 반기면서도 "하루 빨리 공단 지정을 해야 할 것" 이라고 주문하고 있다.

洪의식 (34.상업.대구시수성구지산동) 씨는 "상당수 기업이 도산해 변변한 일자리조차 제대로 없는 대구에 위천공단이라도 만들어져야 시민들이 일할 곳이 생기지 않겠느냐" 며 환영했다.

그러나 일부 시민들은 "현 정부가 집권 6개월 안에 지정 여부를 결정키로 한 약속을 지키지 못한 점으로 볼 때 공단지정이 언제쯤 되겠느냐" 며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 위천공단 = 대구시는 91년 12월 섬유.염색 등 대구 시내에 있는 공해업종을 이전하기 위해 달성군논공면위천리 일대에 공단조성 방침을 밝혔다.

그러나 부산.경남 주민들이 낙동강 중류인 위천리에 공해업종이 들어서면 식수원을 오염시킨다며 강력하게 반대, 지금까지 조성사업이 미뤄지고 있다.

이같은 반발에 따라 대구시는 위천리 일대 2백10만평에 1조7백97억원을 투자해 항공.전자.통신 등 공해가 없는 첨단산업을 유치하기로 했다.

대구시는 열악한 재정난을 감안, 시에서 조성하는 지방공단 대신 정부가 지원하는 국가공단으로 지정해줄 것을 정부측에 요구하고 있다.

부산.대구 = 손용태.홍권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