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단체들 새해계획 마련 한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국제통화기금 (IMF) 으로 한껏 움츠려든 여성의 권익을 되찾아보자는 여성단체들의 새해 설계가 부산하다.

한국여성단체협의회는 지난해에 이어 정부 내에서 여성정책기구의 위상을 강화하는 운동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

여협은 정부조직법을 개정해 대통령직속 여성특별위원회를 '자문기구' 에서 법령제안권.부령제정권 등을 갖도록 권한을 강화시키는 것이 목표. 한편 올해 40주년을 맞아 '여협 30년사 이후 10년사' 를 타이틀로 자료집도 만든다. 여성실직자 창업 워크숍 개최.소년소녀가장 결연사업 확장에도 주력한다.

한국성폭력상담소는 유아.어린이용 성교육 비디오에 이어 초등학교 고학년용 성교육 비디오를 올해 제작한다. 성폭력 피해자 지원체계 강화관련 토론회를 갖고 피해자 후유증 심리상담을 전문화하는 방안도 찾는다.

재정자립 기반 마련도 올해의 주요 목표. (사) 한국여성노동자회협의회는 지난해 사업을 이어 '실업극복 여성상조회' '부업방 운영' '의료지원사업' 등을 계속 추진한다. 특히 인도주의의사실천협의회등과 함께 실직여성가장에게 의료비를 감면해주는 사업은 올해도 지속적으로 확장해나갈 계획.

주부교실중앙회는 여성인력 활용을 위해 상설재활용센터를 지회별로 확대 운영한다. 재활용으로 환경도 보호하고 이곳에 여성실업자들을 수거.수리업자로 일하게 함으로써 여성실업자 구제효과도 노리겠다는 것.

주부클럽연합회는 올해를 '소비자정보제공 강화의 해' 로 정했다. 최근 유통기한.품질 표시 등의 의무제가 폐지됐는데 이같은 일련의 규제완화가 소비자에게는 혼돈을 줄 수 있는 만큼 관련 정보들을 소비자에게 신속히 제공하는 역할을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마침 개정된 소비자보호법이 정부.기업에 정보제공 의무를 지우고있어 더 활발한 활동을 기대하고 있다.

이경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