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한반도 상륙지점 서해안 → 남해안 이동 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8면

태풍이 한반도에 상륙하는 지점이 점차 동쪽으로 이동하고 있고 위력이 점점 세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립기상연구소 김백조 정책연구과장은 20일 ‘한반도 상륙 태풍의 재해와 사회·경제적인 영향’이란 제목의 논문을 공개했다. 이 논문은 21~22일 제주 서귀포 KAL호텔에서 열리는 ‘태풍의 사회·경제적 영향에 관한 워크숍’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김 과장은 1950~60년대에는 태풍이 주로 서해안에 상륙했으나 2000년대 들어서는 주로 남해안으로 상륙한다고 분석했다.

한반도를 관통하는 태풍의 상륙 지점 평균 경도가 70년대까지 동경 123~124도였으나 80~90년대에는 동경 125도, 2000년대 들어서는 동경 126도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10년마다 한반도(남한지역)에 상륙한 7~12개 태풍의 평균 진로를 계산했을 때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50~60년대는 태풍이 충남 서해안 지역에 상륙한 뒤 강원도 동해안으로 빠져나갔으나 80년대에는 전남 서해안에 상륙해 경북 동해안으로 진출했다. 2000년대에는 남해안으로 상륙해서 영남지역을 관통해 동해로 빠져나가고 있다는 것이다.

김 과장은 “태풍은 북태평양 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하는데, 과거에는 이 고기압이 중국 남부 대륙과 한반도에 걸쳐 있었는데 80년대 이후 중국에서 벗어나 동쪽으로 물러서고 있다”고 말했다. 북태평양 고기압의 변화는 다양한 요인이 작용한 결과라서 한마디로 설명하기는 어렵다고 김 과장은 덧붙였다. 또 한반도에 더 많은 태풍이 상륙하고, 태풍의 위력도 점차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지역에 상륙하는 태풍(중심 최대 풍속 초속 17m 이상)이 70년대 3개, 80년대 4개, 90년대 7개, 2001~2005년 5개로 늘고 있다.

태풍의 중심기압도 점차 낮아져 2000년 이후 한반도에 상륙하는 순간 평균 970h㎩(헥토파스칼)로 60년대에 비해 20~30h㎩이나 낮아졌다. 열대저기압인 태풍은 중심기압이 낮을수록 힘이 세진다.

김 과장은 “과거에는 태풍이 중국 대륙을 거쳐오면서 세력이 약해졌는데 상륙 지점이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한반도에 직접 상륙하는 경우가 많아 태풍의 세력이 갈수록 커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태풍은 큰 피해를 주지만 혜택도 있다고 김 과장은 분석했다. 2002~2007년 6년간 한반도에는 직접 상륙한 5개를 포함해 19개의 태풍이 영향을 미쳤는데, 이로 인해 연평균 2조원 정도의 피해가 발생했다. 하지만 태풍은 6년간 ▶수자원 제공(7103억원) ▶공기 오염 감소(918억원) ▶적조 발생 억제(31억원) 등으로 8052억원의 혜택을 가져왔다는 것이다.

강찬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