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자동차-대우전자 첫 빅딜 성사 배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삼성자동차와 대우전자의 초대형 맞바꾸기는 정부와 기업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연말까지 재벌 구조조정을 마무리하겠다고 공언해온 정부로서는 기왕에 추진돼온 7개 업종의 빅딜만으로는 뭔가 미진하다는 생각을 해왔다.

특히 과잉.중복투자의 상징처럼 돼온 삼성자동차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재벌개혁의 밑그림이 완성될 수 없다는 판단이었다.

또한 최근 갈수록 높아지는 재벌개혁의 수위에 일종의 위기감을 가져온 재계로서도 뭔가 굵직한 물건을 내놓지 않을 수 없다는 부담을 가져왔다.

사실 정부는 최근 재벌의 행태에 대해 상당한 거부감을 노골적으로 표현해왔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지금까지 재벌개혁 점수는 낙제에 가깝다" 는 표현까지 썼다.

지난 2월 대통령과 5대 그룹 총수간 5대 합의사항을 발표한 뒤 10개월이 지났지만 한 것이 뭐냐는 게 정부의 솔직한 의중이다.

부채는 오히려 늘고 장담했던 외자유치도 결국 말뿐이 아니었느냐는 얘기다.

게다가 기아자동차가 포드 인수쪽으로 기우는 듯하다가 결국 현대로 넘어감에 따라 한국정부가 재벌의 사세 (社勢) 확장을 방조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마저 국제금융가에 퍼졌다.

사정이 이쯤 되자 정부로서도 무언가 화끈한 '메뉴' 가 필요해졌다. 1차 표적이 삼성자동차가 될 것은 자연스럽다고도 할 수 있다.

정부는 애당초 빅딜대상 업종에 자동차를 포함시켰었다. 또 공식적으로는 자동차문제는 기업이 알아서 할 문제라고 했지만 기회 있을 때마다 국내 자동차산업은 2사 체제로 가야한다는 생각을 비춰왔다.

이 경우 파트너는 대우가 될 수밖에 없다. 이와 관련, 대우그룹은 지난달 하순부터 청와대측과 깊숙한 의견조율을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정경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