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부실채권 정리 속도 낸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정부와 금융권의 부실 채권 정리작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국내 18개 은행이 7일까지 부실 채권 감축계획을 제출할 것이라고 5일 밝혔다.

이에 앞서 금융 당국은 6월 말 기준으로 1.5%인 은행권의 부실 채권 비율(총여신 중에서 원리금 상환이 3개월 이상 연체된 여신의 비율)을 연말까지 1%로 낮추도록 통보했다. 은행들이 부실 채권 비율을 1%로 낮추려면 은행권 전체적으로 20조원, 은행별로는 1조~2조원의 채권을 정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 당국이 행정력을 동원해 부실 채권 감축에 나선 것은 지난해 9월 0.82%에 불과했던 부실 채권 비율이 금융위기 이후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위원회 이병래 금융정책과장은 “위기가 재차 발생할 때를 대비해 부실 채권 비율을 낮추는 방법으로 은행의 건전성을 개선해 놔야 한다”고 말했다.

부실 채권을 사들이기 위한 자금도 속속 마련되고 있다. 국민·신한 등 6개 은행은 출자와 대출로 1조5000억원 규모의 자금을 조성해 민간 배드뱅크를 설립하기로 했다. 익명을 요구한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이르면 10월 민간 배드뱅크가 출범해 최대 5조원의 부실 채권을 매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산관리공사가 운영하는 구조조정기금도 9월부터 15조원을 풀어 부실 채권 매입에 나선다.

최대 40조원으로 운용되는 구조조정기금은 올해 20조원이 조성되는데 이 가운데 15조원은 부실 채권 매입, 5조원은 구조조정 기업의 자산을 인수하는 데 활용된다.

김준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