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판 수서비리' 감사 초점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부산판 수서비리 사건으로 불리는 다대.만덕 택지개발 특혜 의혹에 대해 감사원이 감사에 착수키로 함에 따라 그동안 베일에 가려져 왔던 정.관.업체의 커넥션이 명쾌하게 밝혀질 것인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부산시에 대한 감사의 형식이 비록 일반 감사라고는 하지만 감사팀 15명중 상당수가 지난 96년 주택사업공제조합을 특감했던 건설분야의 전문가들이라는 사실로 보아 다대.만덕사건에 대한 집중 조사가 이뤄질 것이 확실하다.

감사원의 한 관계자는 "이번 감사는 다대.만덕 지구의 택지개발 과정에서 도시개발 정보가 사전에 누출되었는지와 동방주택 이영복사장에게 특혜를 주었는지 여부에 초점을 맞출 계획" 이라고 밝혔다.

이에따라 부산시가 지난 89년 도시기본계획에 대한 용역에 착수한 이래 95년 4월 도시 재정비 계획을 결정 고시할 때까지의 시장이었던 정문화.김기재씨 등과 시 도시계획국의 관련 공무원, 도시계획위원회 관계자 등이 집중적으로 조사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감사원은 또 주택사업공제조합의 다대포 아파트사업 참여과정에서의 정치인들의 압력 행사 여부에도 조사를 벌일 계획이라서 당시 사업승인 과정에 참여한 공제조합 운영위 및 이사회 임원들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가 예상된다.

문제는 감사원이 계좌 추적권이 없는데다 정치인들에 대한 조사는 권한밖의 일이라서 감사에서 정치자금 제공 과정의 의혹을 풀 수는 없다는데 있다.

이때문에 결국은 검찰이 나서야만 배후 등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이다.

검찰의 한 관계자는 "이번 사건이 95년 이후 사정 당국에서 몇차례 손을 댔다가 중도에 포기했던 사실을 감안할 때 이미 상당 부분의 증거가 인멸됐을 가능성이 있어 검찰이 한시 바삐 나서지 않으면 수사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 고 말했다.

임봉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