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전천후 폭격기 F-15E 한국 배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3면

F-15E 주요 장비 및 무기
야간항법장치 ‘랜턴’, MK-82 폭탄, 기갑부대 격파용 집속탄(CBU-52,58,71), 레이저 유도폭탄(GBU-10,12,15), AGM-65 공대지미사일, M61 벌컨 20 mm, AIM-7F 스패로 등

미국이 한국에 순환 배치해 오던 F-16 전투기를 성능이 더 뛰어난 F-15E(스트라이크 이글)로 대체하기로 했다. 군 소식통은 2일 “올해 초 수원기지에 들여왔던 F-16을 F-15E로 대체키로 했다”며 “오는 20일부터 6개월 동안 군산기지에 배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미국 본토에서 들어오는 F-15E 12대는 다음 달 17일부터 실시되는 한·미 합동군사훈련인 ‘을지프리덤가디언(UFG)’에도 투입될 계획이다. 또 전투기 운용에 필요한 장병 400여 명도 함께 배치된다. 주한미군은 지난 3월 아파치 공격헬기 1개 대대를 철수하며 생긴 전력 공백을 보완하기 위해 F-16 12대를 수원 기지에 배치했었다. 아파치 헬기는 기갑부대 격파와 특수전 부대 침투를 저지하는 것이 주 임무였다.

반면 F-15E는 원거리 정밀 폭격이 가능한 전력이다. 이에 따라 F-15E의 한국 배치를 주한 미 공군의 전력 증강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한 국방 전문가는 “이전에도 F-15E가 한반도 상공을 초계 비행하거나 훈련에 참여한 적이 있었다”며 “그러나 이번의 장기간 배치는 미국의 대북 강경정책 분위기와 맞물려 일종의 전력 증강이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F-15E는 신형 항공전자장비를 탑재해 주·야간에 전천후로 공대공, 공대지 임무 수행이 가능하다. 특히 야간 항법장치인 ‘랜턴’을 장착해 야간 정밀폭격 능력을 갖췄다. 6발의 MK-82 폭탄과 4발의 기갑부대 격파용 집속탄(CBU-52.58.71), 레이저 유도폭탄(GBU-10.12.15) 등을 장착할 수 있다.

◆공격형 헬기 증강 사업도=국방부는 2012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뒤에 예상되는 주한미군의 아파치 헬기 부대 철수에 대비하고, 독자적인 작전 수행을 위해 공격형 헬기 전력증강 사업을 추진 중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육군의 공격헬기 부대가 보유한 500MD와 코브라 헬기의 사용연한이 끝나간다”며 “전작권 환수에 맞춰 중고 아파치 헬기를 수입하거나, 한국형 공격 헬기 개발을 통해 헬기도 교체하고 기존 부대 조직도 재정비해 전력을 증강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공격형 헬기 선정은 내년 중반께 최종 확정될 것”이라며 “ 일부 기술을 외국 업체에서 지원받아 국내에서 개발하는 쪽으로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정용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