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성과 낼 수 있는 인사인지 따질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이명박 대통령은 이르면 이번 주 초 공정거래위원장과 검찰총장 후임 인선을 발표할 전망이다. 현재 공정거래위원장으론 서동원 공정거래위 부위원장이 유력한 가운데 강명헌 금융통화위원 등이 막판 경합 중이다. 후임 검찰총장으론 김준규(서울) 전 대전고검장, 신상규(강원) 전 광주고검장, 문성우(광주) 전 대검 차장, 이귀남(전남) 전 법무부 차관 등이 거론되고 있다.

개각은 이 인사와 별도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당초 이달 초~중순께로 예상됐지만, 다소 늦춰지는 모양새다.

이런 배경에는 이 대통령이 재천명한 국정운영 기조인 ‘중도실용주의’가 있다. 그간 이 대통령은 인사와 관련, “보수 인사만 기용한다”(비중도), “실력보단 인맥을 중시한다”(비실용)는 비판을 받아 왔다. 따라서 이번 개각에서는 이 대통령이 이 같은 비판을 뛰어넘는 중도실용주의형 인사 스타일을 선보일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실용적으로 능력부터 고려할 듯=여권 핵심 관계자는 26일 “정부 출범부터 1년5개월이 지난 만큼 이제 이 대통령은 성과를 낼 수 있는 사람인지를 가장 먼저 따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념과 출신보단 능력을 우선 따지겠다는 뜻으로, 중도실용주의에 부합하는 컨셉트다.

정치인 입각과 관련해서도 ‘정무형’보다 ‘전문가급’ 의원들의 하마평이 주로 나오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 대표적인 경우가 지식경제부 장관으로 거론되는 서병수(경제학 박사)·임태희(전 경제관료)·최경환(전 경제관료) 의원 등이다. 장윤석(전 법무부 검찰국장) 의원의 법무부 장관 기용설도 마찬가지다.

◆‘고소영·강부자’ 배제될 듯=이 대통령이 ‘중도강화론’과 맞물려 강조한 것이 ‘친(親)서민 정책 강화’였다. 중도를 강화하기 위해선 경제적 중산층인 서민을 배려해야 한다는 취지다. 이런 상황에서 또다시 ‘고소영(고려대·소망교회·영남)’ ‘강부자(강남·부자)’란 비판을 초래할 만한 인사를 하는 것은 피해야 할 일이다.

이에 따라 최근 청와대 안팎에서는 “이 대통령이 후보들의 자료를 깊게 들여다본다”는 얘기가 나온다. 친서민 기류에 흠집을 낼 수 있는 작은 도덕적 문제도 놓치지 않기 위해 자료를 분석한다는 뜻이다.

◆각계각층 배려하는 통합형 인사 할 듯=이 대통령이 중도실용주의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궁극적 목표는 국민 통합과 국가 선진화다. 따라서 이 대통령은 이번 개각에서도 각계각층을 대변하는 다양한 인물을 발탁, 국민 통합의 메시지를 부각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한승수 국무총리의 교체설이 커지면서 심대평 자유선진당 대표, 이원종 전 충북지사, 이완구 충남지사 등 충청 출신 인사들이 대안으로 거론되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역시 신설 가능성이 제기된 정무장관에 친박계인 한나라당 김무성 의원과 충청 출신 정진석 의원의 하마평이 함께 나오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 밖에 전재희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의 총리 기용설이나 나경원 의원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발탁설도 여성계 끌어안기 차원에서 거론되는 카드들이다.

남궁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