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등 동남아국가 위기 실업률 연말엔 10% 달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세계경제가 심각한 위기상황으로 빠져드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한국을 포함해 외환위기를 겪고 있는 아시아 국가들이 통화공급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바꾸고 유럽.일본이 수입확대를 통해 수요를 창출해야 한다는 주장이 유엔 산하기구에서 제기됐다.

또 심각한 환투기 위험에서 세계 경제를 보호하기 위해 채무 개발도상국에 대해 자본거래를 일시 정지시키는 조치 (세이프 가드) 의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유엔무역개발회의 (UNCTAD) 는 15일 배포한 '무역.개발 연례보고서' 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한국.태국 등 동아시아 경제위기는 최근 30년간 그 어떤 위기보다 심각해 앞으로 수년간 회복하기 어려울 것" 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또 "최근 동아시아 경제위기로 인해 발생한 비용이 전세계 생산량의 1%에 해당하는 2천6백억달러로 추산된다" 며 "아시아지역의 침체로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은 지난해보다 1.2% 감소한 2.0%에 머무를 것" 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또 "한국의 경우 올 성장률이 태국과 함께 6~8%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앞으로 실업사태가 악화돼 연말에는 실업률이 10%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이와 함께 "유동성 위기가 지불능력 위기로 확대되는 것을 막기 위해 유사시 외환거래를 규제할 수있는 제도적 장치의 도입과 함께 이를 다루기 위한 독립적인 국제패널의 설립이 필요하다" 고 주장했다.

홍병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