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인천·목표·광양4곳 외국인 투자자유지역 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인천.목포.광양.부산을 투자자유지역으로 지정하고 관세 등 각종 세금을 감면해 외국인 투자를 적극 유치함으로써 개방거점으로 삼도록 하자는 장기 국토개발 청사진이 제시됐다.

이와 함께 인천~아산만~군장~대불~광양만을 잇는 L자형의 서해안 신산업지대망을 구축하고 지방도시를 산업별 특성을 갖춘 수도 (首都) 로 육성하자는 방안도 제기됐다.

국토개발연구원은 9일 이같은 내용이 골자인 4차 국토종합계획 시안 '21세기 국토구상 (안)' 을 발표했다.

연구원은 21세기의 국토발전 구도는 그동안의 서울~부산축과 수도권 중심의 개발에서 벗어나 서해안과 영동지방의 개발을 포함한 3개 연안축과 3개의 동서 내륙축을 중심으로 삼아야 한다며 이를 위한 7대 전략을 제시했다.

정부는 이같은 연구원의 구상을 토대로 공청회 등을 거쳐 99년말 정부안을 확정, 2000년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연구원은 시안에서 성장잠재력이 큰 거점도시를 중심으로 하는 기존 광역권 개발계획에 영동권을 새로 추가하고 군장권에 전주를 포함시킨 9개 광역권으로 수정.제안했다.

첨단산업 육성을 위해 2개의 실리콘 삼각지대 (트라이앵글) 추진방안도 나왔다.

수도권에 인천~서울~수원을 잇는 소삼각 첨단산업지대를, 지방에선 대덕연구단지가 있는 충남권의 대전~호남권의 광주~영남권의 대구.부산을 잇는 대삼각 첨단산업지대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연구원은 또 통일과 남북한 교류 증대에 대비하기 위해 동해안이나 서해안 지역에 남북한 교류.협력타운 건설을 추진하고, 남북을 종단하는 백두대간 (백두산~지리산) 의 공원과 산.하천을 녹지생태축으로 연결하는 민족생태공원과 비무장지대의 자연생태계 보존을 위한 평화생태공원의 지정.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날 주제발표에 나선 박양호 (朴良浩) 국토계획연구실장은 "4차 계획은 20년의 장기 구상아래 5년마다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세울 것" 이라고 밝혔다.

양재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