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사정 강경기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정치권 비리가 이곳저곳으로 확산되고 있다. 김중권 (金重權) 대통령비서실장이 7일 청구관련 검찰수사를 구체적으로 확인했다. 金실장의 발언은 청구관련 본격수사가 마무리단계에 와 있음을 시사한다.

지금까지 검찰의 정치권 사정은 국세청 불법자금 모금사건 (徐相穆의원) , 건설업계 개인비리 (吳世應.白南治의원) 를 중심으로 전개돼 왔다.

◇여권 수뇌부의 강한 사정의지 = 국세청을 동원한 대선자금 조성의혹에 대해 "용서받을 수 없는 일" 이라고 표현할 정도로 김대중대통령의 사정의지가 강하다.

김중권비서실장은 "과거에는 회기중 의원을 소환하지는 않았으나 이제는 과감히 불러야 하고 체포동의안을 낼 것" 이라고 다짐했다.

여야를 막론하고 정치권 전체를 정화 (淨化) 하는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는 것이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정기국회를 원만하게 이끌어 가기 위해 사정의 폭과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는 여권 일부의 기류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국회운영 문제가 사정의 걸림돌이 될 수는 없다" 고 밝혔다.

그런 맥락에서 "혐의가 있다면 이회창 (李會昌) 총재라고 해서 우회 (迂廻) 하지 않을 것" 이란 얘기까지 나온다.

◇여권이 주장하는 비리 내역 = 청구사건은 장수홍 (張壽弘) 회장이 수십억원의 비자금을 조성해 유력 국회의원에게 수천만원에서 수십억원까지 제공한 것으로 알려진 전형적인 정치권 로비사건이다.

홍인길 (洪仁吉) 전의원도 張회장으로부터 20억원을 받은 혐의로 재수감됐다.

여권 핵심관계자는 청구에만 최소한 한나라당 의원 3명이 연루돼 있다고 밝혔다. 민정계 중진 K의원은 3억원을 수수했으며 대가성도 뚜렷하다고 했다.

또다른 민정계 K의원은 5천만원을 받았는데 본인은 대가성을 부인하고 있어 사법처리 여부가 불투명하다고 했다. 국민회의 K의원도 수사대상인 것으로 알려진다.

기아 비자금 사건은 '이신행 (李信行) 리스트' 가 나오느냐가 열쇠다. 사건은 이회창 한나라당총재 주변인사들에게 혐의가 집중돼 있는 것으로 전해져 큰 파문이 예상된다.

종금사.개인휴대통신 (PCS) 부문은 상대적으로 PK (부산.경남) 출신 의원들이 많이 연루돼 있다고 한다.

한국부동산신탁과 경성그룹 청탁사건은 이미 구속된 정대철 (鄭大哲) 국민회의 부총재 외에도 국민회의.자민련의 고위직 의원 1~3명이 혐의선상에 올라 있다.

전영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