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인공위성 진위판단 왜 늦어지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북한 인공위성' 의 주장이 나온 지 이틀이 지났지만 열쇠를 쥔 미국은 입을 다물었고 한국과 일본은 초조하게 미국발표만을 기다리고 있다.

6일 미국 뉴욕 타임스지가 "인공위성 발사에 신빙성이 있다" 고 보도하면서 인공위성 미스터리는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 답답한 정부 = 우리 정부는 추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내엔 인공위성을 궤도상에 쏘아올렸는지와 궤도에서 인공위성이 돌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단과 기술이 없기 때문이다.

현재 공중을 감시하는 정교한 시설은 공군 산하의 중앙방공통제소 (MCRC)에 모여 있다.

문제는 중앙방공통제소가 항공기를 대상으로 하는 조기경보시설일 뿐 중.장거리 미사일까지 감시할 만한 시스템은 아니라는 점. 한반도와 해상에서 움직이는 전투기들의 속도.고도.이동방향 등을 집어내지만 3백㎞ 정도로 날며 일본열도를 넘어선 1천5백㎞ 지점까지 떨어지는 미사일의 이동궤적 파악에는 장비능력이 따르지 못한다.

◇ 미.일 추적상황 = 한 정보소식통은 "일본은 화성탐사위성을 만들 정도로 우리를 훨씬 앞서 있지만 우주공간에 떠있는 위성을 확인해낼 수준은 아니다" 고 설명했다.

더구나 발사 당일 일본의 일부 미사일관측장비가 가동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결국 미국만이 탄도미사일통제소 (NCMC)에서 운영중인 미사일 조기경보위성이나 해양감시위성.KH - 12 등 첩보위성을 통해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상황.

미국이 북한의 "인공위성 성공" 주장 직후 처음 제공했던 정보는 발사체의 속도가 지구궤도상에 위성을 올릴 만한 속도가 아니었고, 발사체 크기도 일반적인 위성발사체보다 작았으며, 신규위성도 발견하지 못했다는 것. 따라서 인공위성이 아니라는 쪽이었다.

◇ 인공위성 확인설 논란 = 그러나 현재 발사의 전과정을 재분석 중인 미국내에선 미사일이라는 초기정보 판단이 바뀌고 있다는 소문도 흘러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우리 정보 소식통은 "미사일이라는 미국의 1차 판단에 큰 변화가 없을 것" 이라고 단언했다.

지난달 31일 북한은 대포동 1호 발사 당시 휴전선 확성기 방송을 통해 "대포동 미사일 발사에 성공했다" 고 주장했고, 발사현장에는 중동의 무기상들도 참관했다는 것. 따라서 NYT.워싱턴 포스트지의 보도는 "북한과 미국간의 미사일 줄다리기의 연장선상에서 봐야 한다" 는 주장이다.

즉 북한이 ^대포동 1호 발사에 대한 국제적 비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인공위성이라고 거짓 주장을 했다는 것이고^미국은 그 점을 알면서도 이를 북한의 대 (對) 중동 미사일수출 저지 카드로 활용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채병건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