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 반미동맹 미국 갈수록 궁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미국의 수단과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미사일공격은 국제법적으로 하자가 없는가.

유엔을 비롯한 국제외교가에서 이 문제가 또다른 쟁점이 되고 있다.

수단은 미국의 공격이 국제법상 보장된 주권침해 금지 조항을 위반했으며 회원국에 대해 평화유지 목적에 반하는 무력사용을 금지한 유엔의 정신을 어겼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미국은 수단과 아프가니스탄내 테러기지 폭격은 유엔회원국에 그 권리가 보장돼 있는 '자위권 발동' 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결국 논란은 미국이 폭격한 곳이 미국대사관 폭탄테러와 직접적으로 관련돼 있다는 확실하고도 충분한 증거를 확보하고 있는지에 몰릴 수밖에 없다.

이 점과 관련해 시비의 초점은 역시 폭격당한 수단의 하르툼 북부 소재 엘 시파 제약공장의 성격이다.

수단은 이 공장이 화학무기공장이라는 미국의 주장을 깰 자신이 있다며 유엔안보리의 특별사찰팀은 물론 지미 카터 전미국대통령과 미국의회조사단까지 와서 조사해 보라고 자신감을 나타내고 있다.

이 제약공장 건설작업에 간여한 영국인 기술자는 22일 현장을 돌아본 뒤 "길거리로 창문이 나 있는 이 공장에서 화학무기를 만드는 데 필요한 밀폐공정이 가능할지 의문" 이라며 수단측 주장에 힘을 실어 줬다.

미국은 분명한 증거가 있다고 거듭 밝히지만 국제사회에서 미국의 입지는 점차 좁아지는 듯하다.

이현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