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기업 비자금 유입설에 발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청구 등의 기업 비자금 정치권 유입설에 한나라당은 즉각 정치보복.표적사정이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안기부 문건 파문으로 여론이 비등하자 의도적으로 언론 플레이를 하고 있다" (金哲대변인) 며 여권을 맹박했다.

사건 수습을 위한 '진화용' 이란 주장이다.

아울러 야당을 위축시켜 선거에 이용하려는 다목적 포석이라고도 보고 있다.

"잠수정사건.안기부 문건으로 선거에 불리해진 여권이 상황반전을 노린 정치쇼" 라는 것. 따라서 정당연설회 등을 통해 안기부의 정치개입 문제와 함께 쟁점화, 역공을 취하겠다고 벼르는 중이다.

한나라당은 그러면서도 설 (說) 만 무성하던 정치권 사정문제가 전면에 부상하자 야당파괴가 본격화하는 것 아니냐며 예민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수수설이 나도는 인사 대부분이 중진이라는 점도 신경쓴다.

그런 가운데 이회창 (李會昌) 명예총재측은 10일 "전혀 돈을 받은 사실이 없다.

저번에도 그런 식으로 신문에 이름이 났는데 이렇게 하면 곤란하다" (辛卿植비서실장) 고 연루설을 일축했다.

"李명예총재 고사 (枯死) 작전이 시작됐다" (具範會부대변인) 고도 했다.

김윤환 (金潤煥) 부총재는 "장수홍 (張壽弘) 회장은 최근 3년동안 만난 적도 없으며 청구로부터는 한푼도 받은 적이 없다" 고 부인했다.

그는 격앙된 어조로 "그 돈 받았으면 벌써 (감옥에) 들어갔을 것" 이라며 펄쩍 뛰었다.

비당권파가 표적의 주대상이 되고 있는 부분도 주목되는 부분. 이들은 "현정권의 야당 흠집내기가 시작됐다" 며 긴장하고 있다.

야당의 선명성.정체성을 흐리려는 정치적 의도가 숨어 있다고 보는 것이다.

李명예총재의 당권장악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한 여권이 李명예총재에 대한 흠집내기를 시도, 당권경쟁을 이전투구 (泥田鬪狗) 장으로 추락시키려는 '그랜드 플랜' 의 하나로 분석했다.

상황은 이렇지만 정치인에 대한 사법처리까지로 이어지기는 힘들 것이란 게 정치권의 공통된 관측이다.

여권도 이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할 뿐 아니라 파국을 자초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점에서다.

한나라당은 그러나 여권이 정국돌파를 위해 중요한 정치적 고비마다 사정카드를 활용할 가능성이 크다며 날카롭게 반응하고 있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