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공동모금 재계서 주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국내 최초로 연중 상설모금만을 위해 설립되는 '사회복지 공동모금회' 가 전국에서 경제계를 중심으로 범국민적 단체로 조직될 전망이다.

또한 모금 후 배분은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개발, 신청을 하는 모든 시민 사회단체들에게 폭넓게 개방될 예정이다.

그동안 연말연시에는 정부가 주도가 돼 '이웃돕기 운동' 을 벌여왔다. 지난해 3월 관련법이 통과돼 이 모금운동이 민간주도로 바뀌면서 단체별 모금운동을 공동으로 운영하고, 상설화하자는 취지다.

이에 따라 7월1일에는 전국 및 15개 시.도 지역공동모금회가 탄생될 예정이다.

전국공동모금회를 비롯, 15개 시.도 공동모금회의 설립준비위원회는 대부분 금주 내에 정관작업을 마무리 짓고 회장을 비롯한 임원 선출 작업을 시작한다.

법정 설립 마감일은 6월 30일까지. 전국공동모금회의 5인 설립위원회는 11일 그동안 실무추진위원회가 마련한 정관안을 통과시키고 곧 범국민적인 조직 작업에 착수한다.

설립위원들은 국제통화기금 (IMF) 시대에 국내에 첫 도입되는 이 공동모금 운동을 성공시키기 위해선 경제.언론.노동계 인사들이 반드시 참여해야 한다고 보고 회장 등 임원을 비롯, 모금위원에 사회지도층 관련 인사들을 대거 영입키로 했다. 사무실은 전국경제인연합회 회관에 설치된다.

전국공동모금회는 매년 한번 연말 캠페인 기간을 설정해 집중모금을 하고, 이를 15개 시.도 모금회와 전국 규모 단체들에 배분한다.

또 집중 모금을 할 때 전국규모 개별 모금단체들과 일정 계약을 맺고 '연합모금' 도 할 계획이다.

모금된 재원은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만 할 수 있는 시민.사회단체라면 제한 없이 배분 대상 폭을 넓히기로 했다.

이창호 전문위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