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사건 소재 영화'레드 헌트'…서준식씨 구속 홍역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매니어가 아니더라도 '레드 헌트' 라는 영화는 들어보셨을 겁니다.이 영화 때문에 지난해 인권영화제가 난장판이 됐고, 경찰과 학생들의 해묵은 대립과 인권운동가 서준식씨의 구속을 빚었으니까요. 어떤 영화기에 그 난리법석을 피웠던 걸까요. 이 영화는 48년 제주도에서 벌어진 '4.3사건' 을 당시 주민과 역사학자들의 입을 빌어 설명하는 다큐멘터리 작품입니다.

4월3일 주민의 폭동으로 시작된 이 사건은 2만명 가까운 사망자를 낳은 채 아직도 역사의 뒤편에 묻혀 있습니다.이 사건에는 해방 후 좌.우익의 갈등과 미군정의 실정 (失政) 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습니다.영화는 이 과정에서 발생한 억울한 죽음에 초점을 맞춥니다.

이 영화는 우선 이적성이 문제가 됐습니다."내용 전반이 북한의 주장과 비슷하다" 는 얘기죠. 그런데 이미 많은 역사학자들이 비슷한 주장을 해왔으며 심지어 제주도의 일간신문도 특집을 다루고 있는데 유독 '레드 헌트' 에만 시비를 건 점은 이상합니다.

또 하나의 쟁점은 이 영화가 심의를 받지 않고 상영된 점입니다.그런데 인권영화제보다 1개월여 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된 적이 있다는군요. 또 심의 없이 소규모 공간에서 상영되는 영화가 얼마나 많은지는 잘 아실 겁니다.

커다란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는 독립단편영화를 놓고도 이런 해프닝이 벌어지는 것은 우리 사회의 성숙성을 믿지 못하는 일부 '엘리트' 들의 독선적 발상 때문 아닐까요. 곧 열릴 국회에서 국민의 '건전한 판단력' 을 믿는 방향으로 제도가 개정되기를 바라는 건 한두 명이 아닐 겁니다.

문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