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책·글 … 노 전 대통령 지탱해준 삼락”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건강은 완벽한 금연을 요구하고 있었지만, 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상황은 대통령의 손에서 담배가 끊어지는 것을 거의 불가능하게 만들고 있었다. 담배, 어쩌면 그것은 책·글과 함께 대통령을 지탱해 준 마지막 삼락(三樂·세 가지 즐거움)이었을지도 모른다. …책 읽고 글 쓰는 것조차 힘겨워진 상황에서 대통령이 기댈 수밖에 없는, 유일하지만 허약한 버팀목이 아니었을까. … 그러나 담배로는 끝내 태워 날려버릴 수 없었던 힘겨움.”

서거 직전까지 한동안 봉하마을 사저에 머물며 노무현 전 대통령의 연구와 집필 작업을 도왔던 윤태영 전 청와대 대변인. 노 전 대통령의 마음을 가장 잘 읽는다는 윤 전 대변인이 영결식 전날인 28일 노 전 대통령의 마지막 나날에 대한 기억을 담은 글을 홈페이지 ‘사람사는 세상’(www.knowhow.or.kr)에 올렸다.

윤 전 대변인은 “대통령은 시간과의 싸움에서 이기기 위해 ‘진보주의 연구’ 등에 대한 생각을 다듬어 나가는 데 집중하고 있었다”며 퇴임 이후의 일상을 전했다. 이어 “그 피폐한 시간 속에서도 서재 안 대통령의 자리 앞에는 언제나 수북이 책들이 놓여 있었다. 대통령은 끊임없이 책과 자료를 찾았다. 책 한 권을 읽고 나면 그 속에서 다시 두 권의 책을 찾았다”고 썼다.

글 속에는 노 전 대통령이 즐겨 읽은 책도 인용했다. “대통령은 자신을 찾는 사람들에게 읽은 책 가운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는 책들을 강력히 추천했다. 직접 수십 권을 구입해서 나눠주곤 했다. 지난해에는 폴 크루그먼의 『미래를 말하다』, 최근에는 유럽의 사회보장 체제를 설명한 『유러피언 드림』. 대통령은 특히 이 책을 최고의 책으로 평가하고 찬사를 보내며 이런 책을 꼭 한번 써보고 싶다고 말했다. ‘한국판 유러피언 드림’.”

하지만 노 전 대통령은 박연차 사건에 대한 수사가 봉하마을로 향하고 있던 4월 초 “내가 글도 안 쓰고 궁리도 안 하면 자네들조차 볼 일이 없어져서 노후가 얼마나 외로워지겠나? 이것도 다 살기 위한 몸부림이다. 이 글이 성공하지 못하면 자네들과도 인연을 접을 수밖에 없다. 이 일이 없으면 나를 찾아올 친구가 누가 있겠는가”라고 말했다고 윤 전 대변인은 전했다.

침울했던 집안 분위기도 전했다. 윤 전 대변인은 “4월 중순, 사저는 생기를 잃어 가면서 때로는 적막감마저 휘감고 돌았다”며 “특유의 농담이 사라진 지는 이미 오래, 이제는 부산 사투리의 억양마저 없어진 듯 나지막하고도 담담한 대통령의 어조가 서재 밑바닥으로 조용히 가라앉고 있었다”고 기억했다.  

임장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