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립대학 '부도 도미노'현상 우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학교법인 단국학원 부도에 이어 의과대학이 있는 일부 신설 사립대와 지방소재 사립대 등에 '부도 도미노' 현상이 우려되고 있다.

이같은 부도위기는 국제통화기금 (IMF) 시대를 맞아 엄청난 규모의 환차손이 발생한데다 휴학생 및 미등록생의 급증으로 대학들의 재정난이 심화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8일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등에 따르면 전국 1백87개 4년제 대학의 외채규모는 모두 1억5천8백만달러 (2천5백28억원.1달러에 1천6백원 기준)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의과대학과 병원을 보유한 대학중 상당수는 무리하게 고가 의료장비를 수입하거나 임대하는 바람에 환차손이 엄청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신설 P의대가 부도설에 휘말려 있는 등 의과대학을 보유한 3~4개 대학과 신입생 등록률이 저조한 10여개 지방 사립대가 부도위기에 처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올해 대입에서 전체 모집인원 34만여명중 1만2천여명이 미달됐고 휴학생도 전체 재학생 1백만7천여명의 40%대에 이르면서 지방 사립대가 타격을 입은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올해 정부의 고등교육분야 예산지원액은 9천9백8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2천여억원 줄었다.

한편 교육부는 학교법인 단국학원에 대해 9일부터 1~2주일간 특별감사를 실시, 부도경위.재정상태 등을 파악한 뒤 수익용 기본재산 매각허용 등 학교정상화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 단국대 장충식 (張忠植) 재단이사장은 8일 교내에서 1천여명의 교수.교직원들이 참가한 가운데 열린 비상 교직원회의에서 "법인 소유 부동산을 매각, 빠른 시일 안에 부채 2천3백억여원을 갚겠다" 고 밝혔다.

張이사장은 또 "학교정상화를 위해 이사장직에서 물러날 용의가 있으며 재단이사진 총사퇴도 고려중" 이라고 말했다.

단국대는 이와 함께 거래은행인 서울은행에 3백억원의 협조융자를 긴급 요청했다.

오대영·정제원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