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천·삼천 둔치 시민공원 조성계획 적신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전주천.삼천 둔치 (고수부지) 의 휴식공간 조성계획에 적신호가 켜졌다.

전주시가 최근 지난해 9월 발표한 하천 둔치의 시민 공원화 계획을 돌연 변경, 주차장화 하기 위해 사업자 모집과 새단장을 서두르고 있기 때문이다.

당초 시민공원 조성은 상반기에 실시설계를 끝내고 하반기부터는 꽃동산 등 조성공사에 들어갈 계획이었다.

이 같은 사실은 전주시가 최근 남천교 부근의 주차장 (면적 2만1천여㎡) 을 3년간 운영할 위탁업자를 선정한다는 공고를 내면서 밝혀지기 시작, 시민들의 반발이 거세게 일고 있다.

남천교 부근 주차장은 운영업자가 계약 만료로 사업권을 반납했는데도 사업자를 다시 모집한 것이다.

당초 전주시는 하천의 자연상태 보존을 위해 둔치 내 주차장 7곳의 사용기간이 끝나는 대로 콘크리트 바닥을 헐어내 공원화 한다는 방침이었다.

이에 따라 시민단체와 시민들은 전주천.삼천의 둔치 개발 계획에 적신호가 켜진 것으로 보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전주천.삼천의 둔치를 시민들에게 되돌려주겠다' 던 전주시의 약속이 물건너간 것으로 시민들은 내다보고 있다.

시는 당초 1백억원을 들여 올 하반기부터 오는 2000년까지 수중보를 헐어 사철 맑은 물이 흐르도록 하고 둔치엔 꽃동산.경기장 등을 만들어 시민들을 위한 환경친화적 하천으로 정비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전주천.삼천의 둔치는 모두 30여만㎡이며 이 곳엔 현재 주차장이 7개 (7만8천9백㎡) , 게이트볼 연습장이 1개 (2천여㎡) 있을 뿐 전체 둔치의 73% (22만여㎡)가 방치되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주차장을 마냥 빈 공간으로 버려둘 수 없어 운영업자를 선정하기로 했다.

둔치 개발 공사의 진행에 따라 언제든 주차장을 철거할 수 있도록 하는 조건을 붙이겠다" 고 밝혔다.

그러나 시민들은 이 같은 해명이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지적하고 있다.

전주 = 장대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