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민련 공동정권운영에 불만…김용환부총재,DJT 입각권유에도 시큰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김용환 (金龍煥) 자민련 부총재가 새정권 수뇌부의 애를 태우고 있다.

김대중대통령당선자가 지난 15일 일산 자택으로 불러 재경부장관을 맡아줄 것을 요청한데 이어 16일엔 김종필 명예총재가 새 내각 참여를 종용했다.

하지만 金부총재는 거부의사를 밝혔다고 한다.

박태준 (朴泰俊) 총재도 비상경제대책위의 경험을 살려 어려운 경제살리기에 나서줄 것을 여러차례 당부하고 있다.

金부총재가 'DJT (金大中.金鍾泌.朴泰俊)' 의 집요한 권유를 끝까지 뿌리칠 수 있을지는 두고봐야 한다.

그러나 그의 '항명' 은 자민련 저변에 퍼져 있는 'DJT적 공동정권운영' 에 대한 불만과 맞물려 있어 관심을 끈다.

우선 예산기획과 편성권이 이원화된 정부조직개편안에 대한 불만이다.

예산편성.금융감독.통화관리기능을 빼앗긴 재경부장관은 '권한은 없고 책임만 지는' 껍데기 경제장관이 되기 십상이라는 판단을 하고 있는 듯하다.

사실 자민련의 대부분 의원들은 외부로 큰 목소리를 내지는 않았지만 대통령 직속의 기획예산처 설치를 반대해 왔다.

이들의 불만을 캐고 들어가 보면 18일로 다가온 'DJT조각협의' 와도 맞닿는다.

수뇌부가 정한 4 (국민회의) 대 4 (자민련) 대 9 (외부영입인사) 라는 장관배분 방침에 대해서다.

3인협의 형태라고는 하지만 외부영입인사는 결국 金당선자가 낙점하게 되는 만큼 사실상 '국민회의 13대 자민련 4' 가 아니냐는 것이다.

16일 밤 열린 자민련 의원간담회는 구체적인 조각을 협의하는 18일 오전 의원총회를 소집키로 하고 김종필 명예총재와 박태준 총재가 참석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같은 불만을 직접 전달하고 조각협의 때 꼭 반영시켜 달라고 요구하기 위해서다.

전영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