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의 책]'우리 옛집 이야기' 박영순 著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우리 전통주택의 공간배치는 한국적인 미의식과 사상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전통문화의 총화다.

비워진 곳이 채워진 곳보다 많은 전통주택은 한가로움과 고요함이 넘치는 여유있는 공간철학을 갖고 있다.

그래서 사물보다 빈 공간에 더 큰 의미를 부여하는 노장사상이나 불교의 무아사상, 그리고 유교적 금욕주의, 중용사상과 일맥상통한다.

실내 디자이너들과 주거학자들이 지은 이 책은 전통주택의 공간배치와 꾸밈새를 깊이 있게 살피면서 한국 전통주택 실내공간의 의미를 짚고 있다.

저자들은 결론적으로 한국전통 실내공간은 욕망을 배제한 소박성, 자연에 대한 포용성, 인공의 가미를 최소화한 탈기교성 (脫技巧性) , 정신적 의미나 가치를 존중한 관조성으로 구성된 한국미의 실체라고 규정한다.

〈열화당.2백38쪽.1만8천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