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부 긴급구조, 김영삼대통령-김대중당선자 '빅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해양수산부가 벼랑 끝에서 생환하는 쪽으로 바뀐 것은 김영삼대통령과 김대중당선자의 정치적 계산이 서로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해양수산부는 96년 하반기 金대통령이 신설했다.

金대통령은 92년 대선때 부산을 중심으로 한 영남지역의 몰표를 노려 해양수산부 설치 공약을 제시했었다.

때문에 해양수산부에 대한 金대통령의 애착은 金당선자에게 "살려달라" 고 매달릴 정도로 강한 편이다.

부산에서 해양수산부의 존속을 희망하는 여론이 압도적인 점도 金대통령에게 힘이 됐다.

金당선자는 金대통령의 '민원' 을 선선히 받아들이는 인상을 주었다.

이로써 金대통령은 부산 시민에게 체면을 세운 셈이 됐다.

청와대측은 "부산 시민들이 金대통령을 보는 눈이 좀 달라질 것" 이라고 반색했다.

그러나 金당선자가 향유할 반사 이득이 더 클지 모른다.

부산 민심을 얻고, 그로 인해 동서화합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야말로 金당선자가 바라는 일일 것이기 때문이다.

金당선자가 3일 정부측에 선물거래소의 부산 설치를 지시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 볼 필요가 있다.

효과는 또 있다.

金당선자가 金대통령의 위신을 세워줘 서로 우호적인 관계를 지속할 경우 새 정부의 개혁 작업에 탄력이 붙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당장 이번 국회에서 金대통령 영향권에 있는 의원들의 협조를 기대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상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