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내수 살리려면 복잡한 세제 고쳐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9면

"이달 초 전격 타결된 현대차 임금협상은 노사가 서로 한발짝씩 양보한 결과지요. 앞으로 국내 자동차산업에 새로운 노사문화의 틀이 만들어질 겁니다. "

2002년부터 한국자동차공업협회(KAMA) 부회장으로 일하면서 해마다 터진 자동차 파업사태를 지켜 봤던 남충우(55)부회장. 그는 현대차 노사가 머리를 맞댄 지 두 달도 안된 기간(53일)에 협상을 마무리한 것에 큰 의미를 뒀다. 남 부회장은 "한국 자동차산업이 일본 도요타처럼 경쟁력을 다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KAMA는 이를 위해 민주노총의 금속연맹과 노사협의체를 구성키로 했다.

이 협의체는 비정규직 처우 개선 등 최근의 노사 현안을 다룰 예정이다.

남 부회장은 "노사가 안정돼야 좋은 제품이 나온다"며 "도요타는 지난해 1조엔(약 11조원)의 흑자를 내고도 노사가 3년째 기본급 동결에 합의했고 세계 최고품질의 차를 만들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가라앉은 자동차 내수 경기를 되살리기 위해선 세제개편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12종에 달하는 복잡한 세제를 단순화하면 소비자의 차량 구입 절차가 그만큼 쉬워져 내수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협회는 산업자원부에 세제개편을 건의했고 현재 관련 법안이 다듬어지고 있다고 그는 덧붙였다.

남 부회장은 "업체에선 할인 혜택이나 인센티브 등 갖은 노력을 다했으나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협회는 친환경 차량 개발에 대한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남 부회장은 "2010년 세계 시장에서 친환경차의 하나인 하이브리드카(휘발유+전기 차)는 25%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할 전망"이라며 "선진국은 정부가 앞장서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물론 국내에서도 최근 친환경차 관련 법안이 국회에 상정됐지만 매년 1000억원 이상의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한편 KAMA의 비상근 회장인 김동진 현대차 부회장은 대외업무에 치중하고 있고 상근인 남 부회장이 협회의 안살림을 챙기고 있다.

이원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