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티폰 사업 사실상 와해…정보통신부, 서비스업체간 통폐합 허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시티폰 (발신전용 휴대전화) 사업이 출범 9개월만에 사실상 와해됐다.

정보통신부는 4일 정책심의를 거쳐 시티폰사업자들의 사업권반납을 허용하고 사업자간 자율적인 통폐합을 할 수 있도록 결정했다.

이에 따라 서울.나래.부일이동통신 등 지역사업자들은 대부분 서비스를 포기하고 전국사업자인 한국통신에 설비와 가입자를 일괄적으로 넘기는 협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통신사업권 반납은 유례 없는 일로 지난해 6월의 무더기 신규통신사업 허가가 빚은 부작용으로 적잖은 후유증을 남기게 될 전망이다.

정통부는 정확한 사업타당성 검토 없이 서비스를 허가해 자원을 낭비했다는 비난을 면치못하게 됐고 69만명에 달하는 시티폰 가입자들은 큰 불편을 겪을 전망이다.

개인휴대통신 (PCS) 을 비롯, 한꺼번에 30여개 업체가 사업권을 받은 신규통신 사업자 선정에서 사업허가를 따낸 시티폰업체들은 지난 3월 사업에 착수했으나 경쟁 서비스인 PCS의 조기 사업 개시로 지난달부터 가입이 정체되면서 경영난을 맞았다.

정통부관계자는 이날 "사업을 계속하기 위한 업체들의 건의사항을 최대한 수용하되 사업을 중단하겠다는 업체에 대해서는 가입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조건에서 퇴출을 허용하겠다" 고 밝혔다.

정통부가 제시한 지원책은 시티폰접속료 26% 인하, 기지국 정기검사면제 등이다.

하지만 전국사업자인 한국통신을 제외한 수도권사업자인 서울.나래이동통신, 지방사업자인 부일 (경남).세림 (경북).신원 (충남).새한 (충북).전남.전북.강원.제주이동통신 등 10개 사업자들은 4일 오후 가진 모임에서 "그정도 지원으로는 문제의 해결이 안된다.

전국사업자인 한국통신이 10개 지역사업자의 가입자와 장비를 모두 인수해 통합운영하라" 고 주장했다.

한국통신은 이에 대해 "아직 통합운영에 대한 구체적인 방침을 정하지는 않았지만 한국통신이 맡아 서비스를 계속 제공하겠다" 고 밝혀 지역 시티폰사업자를 인수할 뜻을 비쳤다.

하지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