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내 생각은…

전철 장거리 요금 올라도 너무 올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9면

다음달부터 수도권 전철요금이 최대 41%까지 인상된다는 기사를 읽었다.

그러나 최대 41%는 서울역을 기준으로 한 것이지 복정.화곡.마천.상일.방화역을 기준으로 하면 최대 인상폭은 전혀 달라진다. 지금까지 같은 거리를 가더라도 요금이 다른 경우가 있고, 먼 거리를 가더라도 요금이 같거나 저렴한 현상 등 요금 체계가 왜곡될 수밖에 없었던 불합리한 구역제는 당연히 폐지돼야 하지만 이동 구간제로 인한 서울시내 중.장거리 이동객의 인상폭이 지나치게 크다.

신이문에서 압구정까지 10.7㎞ 이동시 요금 인상 전후 기본요금 800원으로 인상률이 0%지만, 교통카드를 사용하던 사람은 740원에서 800원으로 8.1% 인상되는가 하면 마천에서 방화까지 45.3㎞ 이동시 요금인상 전 800원에서 인상 후 기본요금 800원에 추가요금 600원 합계 1400원으로 75% 인상, 교통카드를 사용하던 사람은 740원에서 1400원으로 89.2% 인상된다.

이처럼 이번 전철요금 인상 발표에 따르면 0~89.2% 인상으로 인상 폭이 천차만별이다. 인상안의 최대 피해자는 서울시내의 12.1km 이상 거리를 움직이는 중.장거리 이용자일 수밖에 없다.

서울시내 중거리인 12.1㎞ 이동시 640원(카드 사용)에서 900원(40.6%), 18.1㎞ 이동시 640원(카드 사용)에서1000원(56.2%), 24.1㎞ 이동시 640원(카드 사용)에서 1100원(71.8%), 30.1㎞ 이동시 640원(카드 사용)에서 1200원(87.5%)으로 인상된 요금을 부담하게 돼 제도적인 충격완화장치가 필요하다.

해결방안은 요금체계가 왜곡됐던 지하철 운행노선에 갈아타지 않을 경우 800원 균일요금 장거리 간선 시내버스 노선을 신설해 대체 이동수단을 마련하거나 기본요금 구간을 12㎞에서 15㎞로 확대하는 등 중거리 이용자의 지나친 요금부담 경감 방안을 연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언론은 사실보도만 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국민의 의견을 수렴해 건설적인 정책 개발을 독려, 국민에게 호응받는 정책의 품질을 높이는 데 앞장서야 한다.

조종상 경기도 용인시 기흥읍 상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