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쇄·홍보·광고시장 대통령선거 특수 '썰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5면

옥외집회 금지등을 골자로 하는 정치개혁협상이 마무리되면서 이벤트.광고.홍보 업계가 완전히 울상이다.

대통령 선거가 가까와졌는데도 경기가 없는데다, 선거법 개정으로 최소한의 이벤트에 대한 기대마저 물거품이 됐기 때문이다.

한 이벤트업체 관계자는 "이번 대선에는 선거특수 (特需) 란 말 자체가 무의미할 정도" 라면서 "일부 업체들은 업종 전환을 고려중" 이라고 말했다.

그나마 여론조사 분야는 상대적으로 활발하지만, 이도 H.R.G등 몇몇 대형 업체들이 나눠 독차지한 상태라 추가 경기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 ㈜한컴 구재범부장은 "이 정도라면 올 대선의 홍보.광고.인쇄 시장규모는 2백억원 안팎으로 추정된다" 고 말했다.

이는 지난 14대때의 8백억원대에 비해 4분의 1수준.

◇ 홍보물 = 가장 위축될 분야는 선거전단.포스터.판촉물등 홍보물 분야. 우선 선관위에서 제공하는 포스터.현수막등 법정 홍보물외에는 배포할 수 없는데다 법정홍보물의 종류도 줄어 시장규모는 약 60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나마도 입찰로 선정된 소수업체들이 맡기 때문에 중소 홍보대행.디자인.사진촬영업체들은 대부분 시장을 포기한 상태. PC통신을 통한 선거운동이 새로운 시장으로 떠오르긴 했지만 시장 규모는 미미하다.

㈜키노피아의 정기호전무는 "후보가 많은 국회의원 선거와는 달리 대통령선거는 후보가 몇명뿐인데다 그나마 후보당 6천만원선이면 충분해 별로 시장이 크지 않다" 고 말했다.

YS시계등으로 유명했던 판촉물시장도 마찬가지. 법상 판촉물은 '당원에 한해 1천원짜리 이하' 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무의미해졌다.

판촉물 가게들이 밀집한 서울 을지로1가 S상사 최모씨는 "이 지역을 통틀어 두세집이 열쇠고리와 부채 몇천개를 수주한 것이 전부" 라고 말했다.

◇ 이벤트 = 종전에는 도우미동원.행사장설치.영상차량동원.각종 공연기획등으로 짭짤한 수입을 올렸던 이벤트업체들은 옥외집회까지 금지되자 실망하는 분위기. ㈜PMC 이명헌대표는 "옥내집회라고 이벤트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제약이 많기 때문에 전체시장규모는 14대때의 10%선인 수십억원대로 떨어질 전망" 이라고 말했다.

◇ 광고업계 = 선거운동기간 (11월27일~12월17일) 중 각 후보들에게 허용되는 TV.라디오및 신문광고 시장은 후보 1인당 최고 35억원선인데다 정당광고등을 모두 합쳐도 총 1백50억원을 넘지 않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한편 신한국당 광고는 한컴등 3개사가 대행키로 됐으며, 국민회의는 김홍일 (金弘一) 의원의 처남인 Y씨의 주도아래 S.N.Y사등 3개 광고대행사가 맡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업계 전문가들은 보고있다.

이효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