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그룹, 하동 제철소 99년 착공…정몽구회장--김혁규지사 조인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현대그룹이 정부의 반대 방침에도 불구, 지방자치단체및 주민들의 지원을 등에 업고 일관제철소 건설사업의 본격 추진에 나섰다.

정몽구 (鄭夢九) 현대 회장은 28일 창원 경남도청에서 김혁규 (金爀珪) 경남지사와 '제철소 유치및 건설을 위한 기본합의서' 조인식을 갖고 현대제철소 부지를 경남 하동군 금성면 갈사만으로 확정했다.

양측은 조인식에서 현대가 건설공사와 운영을 맡되 제철소 설립에 필요한 모든 인허가등 행정절차는 경남도가 맡기로 합의했다.

양측은 또 금명간 구체적인 추진방법을 논의할 쌍방실무전담기구를 설치키로 했다.

金지사는 이날 조인식에서 "모든 행정적 업무는 도가 맡아서 할테니 기업은 곡괭이와 포크레인만 들고와 공사를 하라" 고 약속했으며, 경남도는 범도민추진위원회를 구성해 도민 2백60만명에게 현대제철소 유치를 위한 서명을 받았다.

현대그룹은 이에따라 이날 경남도에 지방산업단지 지정및 환경영향평가와 교통영향평가를 신청했다.

현대는 앞으로 1년간 영향평가를 한 뒤 99년 하반기 부지조성공사에 착공키로했다.

또 2002년1월 3백만t 규모의 고로1기를 착공, 2003년9월 준공하고 같은해 10월 3백만t규모의 고로2기를 착공해 2005년 3월에 준공, 연간 6백만t급 고로제철소를 건설할 계획이다.

고로제철소 건설에 투입되는 건설비용은 모두 5조4천억원정도로 전체의 60%정도를 그룹에서 자체조달할 방침이다.

현대측은 "제철소가 완공되면 28만명의 고용창출 효과와 16조원의 생산유발 효과가 기대돼 경제회복의 돌파구가 될 것" 이라고 말했다.

현대측은 한편 "2005년엔 3천1백만t의 철강이 부족해 50억~60억달러의 철강무역 적자가 예상된다" 며 "공급과잉과 경제력집중 우려는 기우일뿐" 이라고 일각의 제철사업 진출반대 논리를 반박했다.

경남도는 고로제철소 예정부지의 지방산업단지 지정등 행정사항및 도로.항만.철도.전력.용수시설등 산업단지 지원시설을 지원하고, 현대측은 사업추진을 위한 타당성 조사및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키로 했다.

창원 = 양선희 기자

[현대제철사업 추진 일지]

▶77.9.현대종합제철주식회사 설립계획안 정부 제출.

▶78.5.현대, 인천제철 인수.

▶78.10.정부, 제2제철 실수요자로 포철 확정.

▶94.7.현대, 제3제철 건설 의사 표명.

▶96.1.정몽구회장 취임기자회견서 제철사업 진출의사표명. ▶96.10.정몽구회장 경남하동군 갈사간척지 방문

▶96.11.통산부 공업발전심의회, 현대제철사업 불허방침 발표. ▶97.9.정몽구회장 코리아서밋 (경제정상회의) 서 고로제철소 진출의지 재천명.

▶97.9.정몽구회장 독일 티센제철소 방문.

▶97.10.인천제철내 고로제철소 기술연구소 준공

▶97.10.경남도.현대그룹, 기본합의서 체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