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김종필총재 협상 막판 절충안 내용…내각제 개헌 대선 공약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12월 대선을 향한 야권의 후보단일화 협상이 막바지 고비를 넘어가고 있다.

"지난해 5월 양당의 대선공조가 첫 거론된 이후 1년5개월에 걸친 대장정 (大長征) 이 정점을 향해 치닫고 있다" (韓光玉.국민회의부총재) 는 인식이 양당 주변에 팽배하다.

15대 국회 임기내 내각제 개헌, 독일식 순수내각제 도입, 공동정권 원칙에 입각한 내각운영과 각종 선거대처등 큰 원칙은 이번주초까지 가닥이 잡혔다.

한광옥 - 김용환 (金龍煥) 협상라인은 이어 이번주 연쇄접촉에서 네가지 미타결 쟁점을 절충하는데 성공했다.

다음 대통령 임기 전반기의 총리 권한과 내각제 개헌의 담보방법에 대해서는 국민회의가 양보안을 내놨다.

대통령제라 하더라도 신임 총리의 국무위원 임명 제청권은 법으로 보장받게 됐다.

합의대로라면 자민련 출신 (또는 추천) 총리의 운신 폭이 과거 총리에 비해 훨씬 넓어지게 될 전망이다.

내각제 개헌의 담보방법은 '대선 공약으로 내걸고, 선거에 이기면 당선자 신분으로 개헌을 재차 천명한다' 는 안을 제시했다.

자민련도 두가지 부분에 신축성을 보였다.

안보.통일분야등 특정 분야의 장관을 특정 당에 할애해야 한다는 요구를 철회했다.

나눠먹기로 비쳐 선거에 악영향를 미칠 수 있다는 점이 감안됐다.

중선거구제와 양원제등 헌정체제를 새로 구축하는 부분은 합의문에 넣지 않기로 했다.

16대 총선이후 자민련의 정치적 입지확보와 직결되는 민감한 사안이나 이도 선거에의 악영향을 감안해 논의 자체를 못박지 않기로 했다.

양당은 이와 함께 협상 타결의 구체적 수순도 마련하고 있다.

우선 협상소위를 열어 전체적으로 결과를 점검한 다음 합의문 기초소위에서 합의서를 만들고 11월3일을 전후해 김대중.김종필총재가 국회에서 이를 서명, 교환키로 했다.

뒤풀이도 준비하고 있다.

합의문을 각당 공식 회의체에서 비준한 다음 대대적인 이벤트도 기획하고 있다.

대전등 지방에서의 보고대회도 구상중이다.

양당총재 회동이 끝나면 양당은 바로 통추세력이나 박태준 (朴泰俊) 의원 그룹등의 합류를 추진, DJP단일세력의 세불리기에 본격 들어간다는 구상이다.

김현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