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다리 안전점검 '엉터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성수대교 붕괴사고 이후 한강 교량에 대해 철저한 안전점검을 밝힌 서울시가 점검을 잘못하는가 하면 일부는 허위점검한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서울시는 일부 교량을 관리주체가 다르다는 이유로 점검대상에서도 제외해 한강교량 안전점검에 불신을 가중시키고 있다.

5일 서울시가 국회 건설위에 제출한 국감자료에 따르면 감사원이 지난해 5월 실시한 한강교량 보수 유지관리 실태에 대한 감사에서 이같은 허술한 안전점검 사실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마포대교의 경우 교량의 상판과 교각사이의 받침 역할을 하는 교좌장치 32개소 모두 가동되지 않고 강판의 강재는 50%에 이르는 부분에서 심한 부식이 발생했는데도 시의 점검에선 이들 사실을 전혀 발견하지 못했다.

안전점검 대상 선정도 육안점검이 가능한 교량 점검통로 설비는 일상점검 대상에서 제외하고 오히려 육안점검이 불가능한 수중교각의 파손상태등을 일상점검 대상에 포함시킨채 한번도 점검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 도로교와 철도교를 겸하고 있는 잠실철교와 동작대교는 상부 구조물의 철도교 부분은 지하철공사가, 도로교 부분은 건설안전관리본부가 안전점검과 유지보수를 담당하고 있으나 하부 구조물은 관리주체를 정하지 않은채 방치돼 수중교각에 철근이 노출되는등 안전도가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시는 이밖에 교량 구조물의 변위등을 계측기등을 통해 관리해야 하는데도 육안점검에만 의존, 비과학적으로 안전점검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이계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