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본격 정책 공약 대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12월 대선을 석달 앞두고 여야는 공약 발표 경쟁에 본격 돌입했다.

이인제 (李仁濟) 전경기지사의 가세로 대선판도가 5자 대결로 바뀌면서 각당은 자기 후보의 이미지를 새롭게 하기 위해 정책 차별화에 당력을 쏟고 있다.

첫 정책 대결이 벌어진 19일 신한국당이 '교육공약' 을 들고 나왔고, 국민회의는 '정보화를 통한 경제살리기' 로 지지를 호소했다.

◇ 신한국당 = 이회창 (李會昌) 후보는 현재 국민총생산 (GNP) 의 4.8% 수준인 교육투자비를 다음 정권 임기안에 6%선으로 올리는 것을 골자로 한 '교육정책 실천약속' 을 발표했다.

李후보는 "학생 선발권및 정원조정.학사관리.전형방법등 대학운영을 각 대학에 완전 일임토록 하겠다" 고 밝혔다.

또 2005년까지 초.중학교의 학급당 학생수를 35명 이내로 줄이고 학년당 학급수도 초등학교는 6학급, 중학교는 8학급 이내로 제한키로 했다.

교원봉급은 99년부터 5년간 연차적으로 대기업 평균수준 이상으로 상향 조정하겠다고 약속했다.

◇ 국민회의 = 김대중 (金大中) 후보는 "70년대 새마을 운동으로 산업화시대를 이끌었으나 저는 정보산업의 육성을 통해 21세기를 열어나가겠다" 며 정보화 정책공약을 내놓았다.

金후보는 이를 위한 3대 실천과제로 정보인프라의 확대, 국가전략 산업으로 정보통신산업 육성, 국가네트워크 시스팀 (KONETS) 전략을 제시했다.

金후보는 "1인 1PC 보유운동 추진과 함께 2000년부터 초.중.고교에서 컴퓨터 과목을 정규과목화하고 전학생에게 인터넷 ID를 부여하겠다" 고 약속했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