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해설]민중미술이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민중미술은 이름 그대로 민중이 주체가 되는 미술을 말한다.

암울했던 70.80년대에 예술가들이 사회에 참여하는 하나의 형태로써 현실을 고발하는 내용을 담은 이같은 현장주의 미술이 생겨난 것이다.

80 '현실과 발언 (현발)' 동인의 첫 창립전 이후 소집단을 중심으로 벌어진 이러한 현실고발적인 미술운동은 당시 구체적인 이름이 붙여지지 않았다.

민중미술 진영 내부에서 조차 '새로운 구상화' , 또는 '새로운 미술' 이라는 식으로 불리다가 85년에 이르러서야 '민중미술' 이라는 이름이 만들어지게 된다.

미술평론가 원동석씨가 '공간' 지를 통해 민중미술이라는 표현을 끌어내기에 이른 것. 하지만 이 단어를 일반화시킨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제도권이었다.

85년 서울 아랍미술관에서 열린 '한국미술 20대의 힘' 전을 공권력으로 중단시키면서 일반인들에게 민중미술이라는 미술장르를 확실하게 인식시켜준 셈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