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초 D-데이” 설도…“性추행당 감수할 건가” 반발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중앙SUNDAY

최연희(65·무소속·사진) 의원의 한나라당 복당을 둘러싼 파문이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다. 최근에는 당 안팎의 거듭된 반대와 우려에도 불구하고 당 지도부가 조만간 최 의원 복당을 마무리지을 것이란 얘기마저 흘러나오고 있다. 당내에서는 “3월 초 D-데이가 잡힐 것”이란 구체적 시점까지 나돌고 있다. 1월 초 최고위원회의에서 처음 정식 논의(본지 2월 8일자 11면)된 지 두 달 만에 논란이 최고조에 달한 모양새다.

최 의원은 한나라당 사무총장을 맡고 있던 2006년 여기자를 성추행한 혐의로 1심에서 징역 6월에 집행유예 1년을 선고받았다. 국회는 의원직 사퇴촉구결의안을 통과시켰다. 하지만 2007년 2심에서 벌금 500만원의 선고유예 판결을 받으며 가까스로 의원직을 유지했다. 그리고 지난해 총선 때 지역구인 동해-삼척에서 무소속으로 당선된 뒤 꾸준히 복당의 문을 두드려 왔다.

불은 한나라당 의원들이 지폈다. 올 초 박희태 대표와 박순자 최고위원이 군불을 떼자 지난달에는 이계진 의원이 “최 의원 복당에 개인적으로 찬성한다”며 기름을 부었다. 이 의원은 한나라당 강원도당위원장을 맡아 최 의원 복당의 가부권을 쥐고 있다. 그는 기자와의 통화에서도 “3년이란 세월이 지났고 정신적·인간적으로 벌을 받을 만큼 받았다. 법적으로도 다 끝난 문제”라며 “너무 이른 거 아니냐는데 오히려 늦었다고 생각한다”고 ‘소신 발언’을 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중앙당에서 처음 논란이 된 사안인 만큼 중앙당에서 결론을 내리기 전에 강원도당 차원에서 먼저 회의를 소집할 생각은 전혀 없다”며 ‘총대 메기’엔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다분히 여론을 의식한 행보다. 안경률 사무총장도 “당 공식기구에서는 전혀 그럴 계획이 없다. 설왕설래가 있긴 하지만 이대로만 이해해 달라”며 황급히 전화를 끊었다.

반발은 거세다. 당장 한나라당 동해-삼척 당원협의회(위원장 정인억) 소속 당원 300여 명이 지난달 26일 한나라당 당사에 몰려와 강력 항의했다. 심규철 제2사무부총장은 면담에서 지금까지 최 의원 복당 건이 공식적으로 논의된 적도 없고, 앞으로도 그럴 계획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정 위원장은 전했다. 당원협의회는 이날 성명에서 “최소한의 도덕성조차 저버린 인사를 ‘성추행당’이란 비난을 감수하면서까지 복당시키려는 시도는 시대착오적 발상”이라며 “이번 논의를 촉발시킨 박희태 대표와 이계진 도당위원장은 즉각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이어 “만약 복당이 이뤄진다면 지역당원 전원이 집단 탈당하는 등 강력 저항하며 한나라당 바로 세우기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지난달 4일 복당 반대 논평을 냈던 한국여성단체연합은 이번 주 중 다른 여성단체들과 공동으로 한나라당 당사를 항의 방문키로 했다. 이구경숙 정책국장은 “박 대표와 당 여성위원장 면담을 요청해 놓은 상태”라며 “모두가 반대해도 저렇게 밀어붙이려는 건 집권여당의 오만이자 2000만 여성에 대한 기만”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김금래 여성위원장은 “최근 당 지도부에 복당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혔으며 다시 한번 심사숙고해 줄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고 말했다. 그는 “지역 주민의 심판을 받았다 하더라도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출당되다시피 한 정치인을 다시 받아들이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당 이미지에 큰 상처만 남길 게 뻔하다”고 주장했다.

우려의 목소리는 당내 주류인 친이계 내부에서도 흘러나오고 있다. 친이계의 한 초선 의원은 “집권 2년차를 맞아 정책 드라이브를 강하게 걸고 있는 이명박 정부에 부담만 주는 행위”라며 “소탐대실이란 이런 걸 두고 하는 말”이라고 꼬집었다. 또 다른 친이계 의원은 “세간에는 민정계와 공안통 재결집의 신호탄이란 분석마저 나온다”며 “자기 사람 챙기기도 지나치면 화를 부르는 법”이라고 비판했다.

박신홍

중앙SUNDAY 구독신청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