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지역 사회복지사 자격증 가진 인력 부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영동지역에서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가진 인력의 부족으로 사회복지시설및 일부 종합병원들이 법정 사회복지사 채용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현행 사회복지사업법은 사회복지시설 근무 직원의 3분의1 이상을 자격증이 있는 사회복지사로 채우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1백20명의 직원이 채용돼 있는 영동지역 10여 사회복지시설에는 최소 40여명의 사회복지사가 고용되어야 하지만 실제로 고용된 사회복지사는 26명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자격증이 없는 사람들로 채워져 있다.

자격증이 없는 직원들 중에는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따기 위해 3~6개월 자리를 비우는 경우도 있어 업무공백이 발생하기도 하는 실정이다.

더욱이 영동지역에 내년말까지 정동진 중증 장애인요양원과 내곡동 종합사회복지관이 개원 예정에 있는등 각종 사회복지시설이 잇따라 건립되고 있어 사회복지사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강릉종합사회복지관 서성윤 (徐聖潤.38) 부장은 "영동지역의 사회복지시설들이 사회복지사를 구하지 못해 같은 봉급을 주고도 비전문가를 고용하고 있다" 며 "이로 인한 사회복지업무의 질 저하가 우려된다" 고 말했다.

의료법 시행규칙에 따라 환자의 갱생.재활.사회복귀를 위한 상담및 지도를 담당할 사회복지사를 1명씩 채용해야 하는 종합병원도 구인난을 이유로 사회복지사 고용을 외면하는 곳이 많다.

강원도내 16개 종합병원 가운데 사회복지사를 채용하고 있는 곳은 춘천성심병원.원주기독병원.춘천의료원.강릉병원.동인병원.영동병원등 6곳에 불과하다.

사회복지사가 없는 병원들은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가진 인력을 구하기가 어렵기 때문" 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에 대해 사회복지 관계자들은 "상지대.한림대등 영서지역 대학에 사회복지 관련학과가 있으나 영동지역의 경우 대학들이 관련 학과의 개설을 기피, 전문인력의 양성및 공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며 "사회복지사를 고용하지 않는 종합병원의 경우 구인난보다는 비수익 의료서비스부문에 대한 외면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고 말했다.

강릉 = 홍창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