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경제위기 어떻게 극복할까-금융기관도 自救노력부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기아 (起亞) 사태는 기아문제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기아에 막대한 자금을 빌려준 금융기관의 부실화로 이어진다.

당장 국내적으로는 종금사의 기업어음할인이 중단되고 은행의 대출이 끊기는등 금융기관의 몸사리기 때문에 신용경색이 나타나고 있다.

해외에서는 국내 은행의 해외차입이 어려워지고 선진국 금융감독기구가 노골적으로 한국계 진출은행의 장부를 검사하는 실정이다.

이런저런 이유때문에 제일은행을 비롯한 금융기관에 정부가 지급보증을 하든지 특융을 해서라도 공황은 피해야 한다는 주장이 거세다.

그러나 우리는 어떤 형태로든 지원이 결정되기전에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첫째 금융기관이 철저한 내부개혁으로 경영합리화방안을 먼저 내놓아야 한다는 것이고, 둘째 지원결정과정이 투명하도록 의견합의절차를 완전히 공개하라는 것이다.

기아사태가 주는 교훈을 이번 기회에 우리는 잘 되새겨야 한다.

한보사태가 터진 후에도 설마하며 기업도 은행도 스스로를 추스르지 않은 잘못을 반성해야 한다.

은행도 기업이다.

채권은행단이 기아에 자구노력을 촉구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스스로도 당장 자구노력에 들어가야 한다.

실적이 안좋은 지점을 통폐합하고, 부동산을 처분하고, 인력을 대폭 줄이면서 사무합리화를 해야 한다.

스스로 자구노력을 성실하게 하면서 기아에 요구할 때 사태수습의 실마리가 풀린다.

이번에 제대로 내부개혁을 잘만 하면 앞으로 엉터리 대출심사를 하는 풍조가 조금은 개선될 것이다.

은행이나 기업이나 변화된 상황을 인식하지 못한채 당장 경제사정이 어렵다든지 혹은 다른 감정적및 정치적 이유로 지원을 받아 난관을 벗어나려는 태도는 버려야 한다.

언론이나 정치권도 무엇이 중요한지 제대로 알고 얘기를 해야 도움이 된다. 무작정 정부가 무엇을 하고 있느냐며 은행에 대한 지원을 촉구할 일은 아니다.

은행이 환골탈태 (換骨奪胎) 하는 것만이 지원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길이다.

그러자면 경영주체가 어떻게든 확립되는 것외에 현실적인 대안이 없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