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그룹 우성 인수 백지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한일그룹의 우성 인수가 1년 2개월여만에 백지화됐다.

우성그룹의 계열 주거래은행인 제일은행등 우성의 57개 채권 금융기관중 49개 기관 대표자들은 15일 회의를 열고 인수 백지화 여부를 투표에 부친 결과 41개 기관이 인수합의 백지화에 찬성했다.

이에 따라 우성그룹이 지난해 1월 부도로 쓰러진 뒤 같은해 5월에 한일그룹에 인수시키기로 한 '선 (先) 인수 - 후 (後) 정산' 방식은 정산방법의 견해차로 무산됐고 채권 은행단은 당분간 법정관리를 지속하면서 우성의 새 주인을 물색하기로 했다. 채권기관들은 이날 투표에서▶한일그룹의 요구를 전면 수용하는 방안▶한일의 인수자 선정을 백지화하되 추후 제3자 인수시 다시 인수자격을 부여하는 방안▶한일을 완전 배제한 채 제3인수자를 물색하는 방안 등 3개안을 놓고 투표를 벌였다.

투표 결과 41개사가 한일의 완전배제및 제3의 인수자 물색 방안에 몰표를 던졌으며 6개사는 추후 인수자 물색시 한일의 참여 허용에, 나머지 2개사는 기권했다.

제일은행 관계자는 "최후통첩등을 통해 한일측에 우성 인수를 마무리짓도록 종용했으나 끝내 불응해 채권단회의에서 한일의 인수 추진을 백지화하고 제3의 인수자를 찾기 위한 결의를 투표로 이끌어 냈다" 고 설명했다.

한일측은 금융조건및 우성에 대한 신규투자등 인수 약정에 합의해 놓고 뒤늦게 우성의 경영상태가 나쁘다는 이유로 법정관리 지속및 금융조건의 추가 완화를 주장하다가 채권단의 거부로 우성 인수가 물거품이 됐다.

한편 우성인수 백지화를 계기로 일부 채권은행이 한일그룹을 상대로 인수합의 조건 불이행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검토하고 있으며 한일측도 채권단을 상대로 맞소송을 제기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자칫 인수 무산에 따른 후유증이 법정다툼으로 번질 가능성도 있다.

<송상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