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辛체제 유지"…중앙위 "당 정비 먼저" 결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열린우리당이 '신기남 체제'의 유지를 택했다. 당의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중앙위원회는 10일 회의를 열고 당헌.당규가 개정돼 새 지도부를 선출할 수 있는 적절한 시점까지 현 지도체제를 유지키로 했다.

중앙위는 이날 지도부가 총 사퇴한 뒤 오는 7~8월 중 조기 전당대회를 여는 안과 당 체제를 정비하고 기간당원을 확보해 내년 1~2월에 여는 안 두가지를 놓고 논의한 끝에 전당대회 시기를 못박지 않고 이같이 결정했다.

그러나 당헌.당규 정비와 기간당원 육성에 걸리는 시간을 감안할 때 사실상 올해 안에 전당대회를 치르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신 의장도 중앙위 결정 직후 기자회견을 열고 "(새 지도부 선출은) 아마 내년 1~2월이 되지 않을까 예측한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는 대다수 중앙위원이 당 체제 미비 등을 이유로 조기 전대에 부정적 입장을 보여 다소 싱겁게 끝났다. 두가지 안에 대해 표결조차 하지 않고 '지도부 사퇴보다 당 체제 정비가 더욱 중요하다'는 결의문만 발표했다. 이 과정에서 조배숙.유시민.노혜경 등 소수 위원만이 "조기 전대가 오히려 당 체제 정비에 유리하다"는 견해를 냈다고 임종석 대변인이 전했다.

그러나 지도부 책임론을 주장했던 이부영 상임중앙위원은 "6.5 재.보선 전후로 열린우리당과 정부는 국민에게서 외면당하기 위해 노력한 느낌마저 준다"며 "아무 일 없었다는 듯 그냥 지나칠 수는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상임중앙위원직을 사퇴하려고도 생각했지만 이제 나 한사람의 사퇴로는 아무런 의미가 없어졌다"며 "현직에 남아 당과 정부가 바른 길로 가도록 발언하고 비판하겠다"고 덧붙였다.

신 의장은 회의 직후 기자회견에서 "재.보선 결과에 대해 당의장으로서 다시 한번 사과한다"며 "개혁 과제 완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당내 의사 결정에서 소외되는 분이 없도록 화합.단결하겠다"고도 했다.

당 핵심 인사는 "현재의 상임중앙위원과 당내 각 계파별 대표 인사들로 '당 발전위원회' 등의 기구를 구성해 리더십을 보완하는 계획 등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당내 일각에는 현 지도부가 덩치를 키우는 것에 대한 경계의 목소리도 있어 구성 여부는 아직 미지수다.

김선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