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경쟁력을 말한다 ② 이기수 고려대 총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이기수(64·사진) 고려대 총장은 “2012학년도부터 수능 기준으로 총정원의 5배수(3만 명)를 뽑아 교장 추천, 사회 봉사, 교내·외 활동 경력 등을 반영해 최종 선발하는 입시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장은 23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대학들이 뽑는 경쟁에서 벗어나 잘 가르치기 경쟁을 해야 한다”며 이 같은 방안을 소개했다.

그는 “대학별고사(본고사)를 치르면 공교육이 정상화될 수 있느냐”며 “공교육 정상화는 대학들이 입시를 통해 풀어야 할 공동 과제”라고 강조했다. 연세대 김한중 총장이 대입이 자율화되는 2012학년도 수시모집에서 “대학별고사로 학생을 뽑겠다”(본지 1월 23일자 1, 8면)고 밝힌 데 대해 이 총장은 다른 입장을 내놓은 것이다.

이 총장은 “공교육 정상화는 ‘SKY대(서울대·고려대·연세대)’ 입시와 직결되는 문제”라며 “대학이 수험생의 1, 2점을 갖고 경쟁하지 말고 내신이든 교장추천제든 고교 교육을 믿고 뽑자는 대타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총장들의 대타협과 대국민 선언→한국대학교육협의회·학부모가 참여하는 협의체 구성→새 입시안 제시→국민 수용의 4단계 입시개혁안을 제시했다.

고려대는 이를 위해 ▶수능으로 총정원의 5배수 선발 ▶교장 추천·봉사 경력 반영 ▶내신 신뢰 등을 올해 고1이 치르는 2012학년도 대입 기본 방향으로 정했다. 세부안은 다음달 교수회의에서 논의할 예정이다.

이 총장은 “올해 신입생부터 1년간 교양교육원에서 ▶인문학 ▶언어(영어, 제2·제3 외국어) ▶해외 인턴십 ▶봉사 교육을 받도록 해 잘 가르치기 경쟁을 본격화한다”고 설명했다. 고려대는 미주·아시아·유럽의 교우회를 통해 한 해 1000명가량의 학생을 해외로 보내 인턴 체험 교육을 시킬 계획이다. ‘학점 따기’ 교육에서 탈피해 세계인으로서 클 수 있는 글로벌 교육을 시키겠다는 취지라는 설명이다. 이 총장은 “3월부터 교수 한 명이 학생 5명 정도를 책임지는 지도교수제도 활성화해 교수들의 가르치기와 연구 경쟁을 적극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강홍준·정현목 기자

※다음 인터뷰 차례는 서정돈 성균관대 총장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