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철연 의장 ‘망루 농성’ 개입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서울 용산 재개발 참사 현장에서 순직한 경찰특공대 소속 고 김남훈 경사의 영결식이 22일 서울 가락동 경찰병원에서 열렸다. 경찰특공대 동료들이 일곱 살 난 딸아이를 남기고 젊은 나이에 숨진 고인에게 헌화할 순서를 기다리며 울먹이고 있다. [김경빈 기자]


검찰에 따르면 ‘용산4구역 철거민 대책위원회’(철대위)는 지난해 남씨와 함께 점거 농성 계획을 세운 뒤 세입자 6명으로부터 투쟁기금 명목으로 1000만원씩, 모두 6000만원을 거뒀다. 세입자와 전철연 회원들은 이 돈으로 화염병·새총·식량·시너·유사 휘발유 등을 농성장에 들여온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전철연 간부의 주선으로 철대위 회원들이 인천시 도화동의 철거민 대책위 소속 박모씨로부터 망루 설치 방법을 배웠다는 농성자들의 진술을 확보했다. 검찰은 용산 세입자들이 농성 준비와 교육 등의 대가로 전철연 간부에게 돈을 건넸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6000만원이 들어 있던 계좌의 거래 내역을 조사 중이다.

검찰은 이날 김모(45)씨 등 남일당 빌딩에서 20일 체포한 검거 농성자 5명을 화염병 사용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 등으로 구속했다. 망루의 불로 경찰관 한 명을 포함해 6명이 숨지고 20여 명이 다친 데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수사본부는 화재 원인에 대해 ‘불이 농성자의 화염병 때문에 일어났고, 경찰은 직접적 원인을 제공하지 않았다’는 잠정 결론을 내렸다.

구속된 5명 중 두 명은 용산 철대위 소속이고, 세 명은 다른 지역에서 온 전철연 회원이다. 검찰은 용산 철대위 위원장 이모씨 등 병원에 입원 중인 농성자 6명 중 1∼3명에 대해 추가로 구속영장을 청구키로 했다.

검찰은 이날 백동산 서울 용산경찰서장을 불러 진압 과정에서 안전과 관련한 경찰 내부 지침을 따랐는지를 조사했다. 유가족·실종자 대책위원회는 연행자 석방과 구속영장 철회를 요구했다.

이철재·박유미 기자 , 사진=김경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