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내 테크노파크 전문인력등 부족으로 유치 어려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강원도내 춘천.원주.강릉시등 3개 시가 입지여건등이 다른 지역에 비해 나빠 도내 유치가 사실상 어려운 테크노파크(기술연구집단화단지)유치경쟁을 벌이고 있어 일종의 전시행정이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춘천시는 지난1월 강원대와 테크노파크 조성협약을 체결한뒤 이달 15일 추진협의회를 발족시켜 구체적인 사업으로 첨단기능빌딩등을 건립할 3만여평의 부지확보와 재원조성에 나섰다.

강릉시도 한국과학기술원(KAIST)분원및 강릉대와 지난1월 관학협력체계를 만들어 강릉과학산업단지안에 테크노파크를 유치한다는 계획을 추진해 왔다.

또 원주시도 27일 시장실에서 상지대.연세대원주캠퍼스.한라공대.강원이업종 교류연합회.원주상공회의소의 관계자들과 테크노파크 조성사업추진협정을 맺고 유치경쟁에 뛰어들었다.

테크노파크는 테크노파크추천위원회가 전국 15개 시.도광역자치단체가 추천한 15개 도시 가운데 2개소를 선정하고,선정된 도시에는 단지조성을 위해 통상산업부가 매년 50억원씩 5년동안 지원하게 된다.따라서 각 자치단체들은 지역발전을 위해 테크노파크의 유치에 관심을 갖는 것이 당연하다.

그러나 강원도는 ▶각종 정보의 접근용이성 ▶교통의 편리 ▶정보산업에 종사할 고급인력등 제반여건에서 경인지역이나 영남지역 보다 불리해 유치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지난9일 대전에서 열렸던 테크노파크 사업설명회에 전국의 1백60개 시에서 참석하는등 높은 관심을 보였다.

그럼에도 도내 3개시가 테크노파크 유치경쟁을 벌이는데 대해 '지방선거가 1년 앞으로 다가온 시점에서 각 시마다 마땅한 비전이 없어 무엇인가 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전시행정'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는 상황이다.

유치도시 추천권을 갖고 있는 강원도의 한 관계자는“가능성이 희박한 테크노파크 유치경쟁을 도내 도시들이 벌이고 있어 추천을 안할 수도 없는 상황”이라며“오는 6월25일까지 사업계획서를 받을 계획이나 어떤 방식으로 추천할 도시를 선정해야 할지도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며 난감해 하고 있다. 춘천=이찬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