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법전쟁 전초전 … 여야, 열띤 장외 홍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2월 입법전쟁을 앞두고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장외 홍보전에 돌입했다.

15일 여야 지도부가 모두 나섰다. 한나라당은 정책설명회, 민주당은 결의대회 형식을 택했다. 한나라당이 상대적으로 이성적 설득에 주력했다면 민주당은 감성에 호소했다. 다들 민심의 향배가 입법전쟁의 향배를 좌우할 것이란 판단을 하고 있다.

한나라당 지도부는 전국 곳곳으로 흩어졌다. 박희태 대표 일행이 창원, 임태희 정책위의장이 전주, 송광호 최고위원이 천안을 찾았다. 박 대표는 이날 경남도당 정책설명회에서 “우리가 만들려는 법은 경제를 좀 살리자는 것”이라며 “(민주당이 주장하듯) MB악법이 아닌 MB약법(藥法)”이라고 강조했다. “과거의 오법(誤法)과 악법을 바로잡는 정법(正法)”(김재경 의원)이란 주장도 나왔다.

조윤선 대변인은 미디어 관련 법안을 두고 “인터넷TV(IPTV)와 방송·통신이 융합하게 되면 앞으로 방송채널이 500개, 1000개 이상 생긴다”며 “민주당은 ‘방송장악법’이라지만 채널 1000개 시대에 한두 개 방송을 장악해 무슨 의미가 있으며 여론 통제가 가능하겠느냐”고 반문했다.

민주당을 향해선 박 대표가 “다른 당 의원들처럼 따뜻한 남쪽 나라에 가서 골프를 쳐야 하는데…”라거나 “전 국토가 마치 거대한 공사장처럼 보이게 해야 한다며 해머 소리가 빨리 들리게 해 달라고 했는데 엉뚱하게 국회에서 해머 소리가 들렸다”고 꼬집었다.

민주당은 대전에 총집결했다. 방송법 개정에 반대하는 단체인 ‘미디어 행동’과 공동 주최한 결의대회였다.

정세균 대표는 “악법이 남발되면서 대한민국 민주주의가 앞으로 나가기는커녕 뒤로 돌아가고 있다”며 “특정 재벌이나 신문사들이 독점해 뉴스를 생산하면 여러분은 제대로 시시비비를 가릴 수 없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과거 안기부 시절이 생각나지 않느냐”며 “2월 국회에선 민생법안의 탈을 쓴 MB악법을 저지하는 데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여권의 속도전 움직임을 두곤 원혜영 원내대표가 “21세기 대한민국을 성수대교를 무너뜨리고 삼풍백화점을 무너뜨리는 속도전, 건설공사의 현장으로 전락시킬 수 없다”고 꼬집었다. 이들은 결의대회 말미에 “MB악법 저지하자”라는 구호를 외치면서 ‘재벌방송 재벌은행 휴대폰 도청’이란 글귀가 적힌 대형 현수막을 찢는 퍼포먼스도 벌였다.

창원=정효식, 대전=백일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