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공조직 大選자금 선거 두달전부터 지출 투표전날만 36억 결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3일 전모가 드러난 92년 대선당시 민주당의 공식 선거자금은 선관위 회계보고제도가 얼마나 허구적인지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민주당의 선거자금 지출은 10월부터 본격적으로 지출됐다.평소 십수억원에 불과했던 월간 지출액은 10월에 40억원이 쓰여지면서 증가하기 시작해 11월엔 그 배인 85억원으로 올라갔다가 선거달인 12월은 2백72억원으로 최고점에 달했다.

명세를 뜯어봐도 10,11월 지출항목은 홍보비등 한눈에 선거관련 비용임이 분명한 내용으로 가득차 있다.

당시 조직2국장으로 선거운동에 참여했고 지금은 민주당 경리를 책임지고 있는 조상환총무국장도“민주당의 선거운동은 10월부터 본격화됐고 자금집행도 선거자금용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같은 사정은 김영삼(金泳三)후보가 나왔던 민자당도 마찬가지였다고 선거때 경리실에 근무했던 김재덕(金載德)씨가 증언한 바 있다.

일일 자금집행보고서에 따르면 선거전날인 12월17일에 36억원 이상이 지출됐고 12월10일께는 45억원이 지출돼 선거종반 1주일동안 자금이 집중적으로 풀렸음을 알 수 있다.

특히 17일의 36억원 집행명세중에는 시도지부.지구당 특별지원금(40명)으로 2억1천3백만원이 지출돼 1인당 평균 5백만원을 쓴 것으로 나타났는데 선거전날 현금으로 지급된'특별지원금'의 내용이 주목된다.

또 지출항목중'선대당직자.직원.자원봉사자 격려금'1억2천만원이라고 돼있는 것도 정확한 회계보고를 불가능하게 하는 대목이다.

선대당직자와 직원의 격려금은 인건비로 통상적인 정당활동비에 속하지만 자원봉사자 격려금은 분명히 법정 선거자금이기 때문이다.

김대중후보측의 선거비용이 10월부터 민주당이 사용한 3백97억원의 공식적 비용 외에 얼마나 더 들어갔나 하는 것은 여전히 베일에 싸여 있다.

크게 金후보 개인이 쓴 돈과 '연청'등 사조직이 쓴 돈이 더 있는 것은 틀림없다.선거때 당 공동대표로 김대중후보를 도왔던 이기택(李基澤)총재는“그 액수를 얘기하지 않겠다”고 말하고 있으나 측근들은“당의 공식비용을 포함해 모두 6백억원선일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그러나 金후보측은 거액의 사조직비를 썼을 것이라는 주장을 일축했다.

전영기.김현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