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지원사업에 올 4700억 투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대구시가 저소득층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 시는 경제난 속에 저소득층의 생활이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보고 올 한해 4700억원을 투입해 각종 지원사업을 펴기로 했다. 이는 지난해 3800억원보다 23.7% 늘어난 것이다.

시는 월 1만원 미만의 건강보험료를 내는 5700여 노인 가구에 올 한해 동안 보험료를 지원해 주기로 했다.

지난해에 이어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 장애인 등 5만3500여 가구에는 월 2만원씩 에너지 보조금을 지원한다.

또 저소득층 가운데 교통사고·질병·화재 등으로 경제적 고통을 받고 있는 가구에 대해서는 긴급 생계비로 50만∼100만원을 지급하고, 기초생활수급자가 거주하는 임대주택의 임대료를 동결하기로 했다. 실직가장과 노인에게 일자리를 찾아주는 사업도 편다.

시는 지난해 331억원을 들여 1만7000여 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했으나 올해는 447억원을 투입해 2만500여 명에게 일자리를 마련해 주기로 했다. 가사간병 도우미, 근로자활공동체 창업, 혼자 사는 노인 도우미, 중증장애인 활동보조 등이다. 실직 등으로 차상위 계층이 빈곤층으로 전락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저소득층과 장애인을 위한 기술교육도 실시한다. 시는 광역자활센터의 타일·도배·보일러 시공 등 6개 과정에 315명을 위탁해 창업교육을 받게 하고, 장애인 470명에 대해서는 직업훈련을 시킨 뒤 일자리를 알선해 주기로 했다.

이를 위해 시는 권영세 행정부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서민생활안정대책단’을 최근 발족했다. 대책단은 이달부터 현장을 점검해 위기 가구를 파악하고 이들의 자활을 돕기로 했다. 김선대 대구시 보건복지여성국장은 “경제난 속에 가장 고통을 받는 사람은 경제적 약자”라며 “이들의 삶의 질이 나아질 수 있도록 모든 행정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홍권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