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부조리 촘촘한 감시망 … 역시‘클린 고창’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고창군이 가장 깨끗하고 투명한 ‘클린 지자체’로 확인됐다.

이강수(사진)고창군수는 최근 국제투명성기구한국본부가 주는 ‘제 8회 투명사회상(공공부문)’을 받았다. 다양한 부패방지 시책으로 청렴행정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 받았다.

고창군은 지난해 국가 청렴도 평가에서 종합점수 9.29점(10점 만점)을 받아 전국의 89개 군단위 지자체중 1위를 차지했다. 특히 금품·향응 제공은 단 한건도 적발이 없는 0%로 나타났다.

‘클린 고창’ 만들기는 2002년 민선 3기 단체장에 취임한 이 군수가 시동을 걸었다. 당시만 해도 고창군의 청렴도는 전북도내 14개 지자체중 중위권 수준이었다. 이 군수는 “공무원이 깨끗해야 행정이 신뢰를 받는다”며 군청에 부패방지 기획단을 꾸렸다.

고창군은 먼저 인사의 틀을 투명성·공정성을 강화하는 쪽으로 확 뜯어 고쳤다. 연공 서열에서 능력 위주로 바꾸고 기획·인사·경리·예산 등 주요부서는 공모제를 실시했다. 상·하위 직급이 함께 참여하는 다면평가제를 도입하고, 승진심사에 퇴직 공무원·교육계 인사·사회단체 대표 등 외부인사를 참여시켜 공정성을 높였다.

감사청구 요건을 주민 200명에서 50명 이상으로 완화해 부정부패에 대한 감시체계를 강화했다. 2000만원 공사는 전자입찰제를 확대하고, 부조리 신고 포상금도 2000만원으로 높였다. 주민 125명을 클린회원으로 위촉해 식품업소 단속이나 도로·마을회관 공사때 명예감독관으로 활동하도록 했다.

이같은 노력으로 고창군의 청렴도 점수는 2003년 7.94에서 8.51(2004년)→9.10(2005년)으로 상승했다. 2005년에는 전국 325개 기관중 9위, 전북 1위를 차지했다. 2006년에는 청렴도 측정을 면제 받았다.

이강수 군수는 “공무원이 똑바르면 지자체가 바로서고 국가도 바로선다”며 “부정부패나 뇌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장대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