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시내버스 파업 장기화 조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 시내버스 파업 이틀째인 26일 대구시 산격동 대우아파트 앞 정류장에서 시민들이 대체투입 버스를 애타게 기다리고 있다. 조문규 기자

대구 시내버스 파업이 이틀째 계속된 가운데 노.사 당사자 및 대구시의 입장이 접점을 찾지 못해 시내버스 부재가 장기화될 조짐이다.

시내버스조합측은 25일에 이어 26일 오후에도 조합 사무실에서 업체대표자회의를 갖고 노조와의 협상대책에 대해 논의했으나 준공영제 시행 이전까지는 임금을 동결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조합 관계자는 "적자노선에 대한 재정지원 약속 등 대구시의 입장변화가 있어야 노사간 협상의 여지가 마련될 것"이라며 "현재의 운송수입으로는 인건비를 감당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노조측은 그간의 협상과정에서 임금 인상폭을 3차례나 수정해 제시한만큼 사용자 또는 대구시가 진전된 협상안을 마련해야 돌파구가 열릴 것이라는 주장이다.

노조 관계자는 "교섭 창구는 열려 있지만 노조의 기존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며 "이미 마련된 쟁의계획에 따라 파업상황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과거처럼 시민 세금을 재원으로 하는 재정지원 증액 등의 미봉책을 더 이상 반복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올해 시내버스 업체에 대한 지원은 재정부문 120억원(국.시비 각 50%), 유가보조 60억원(국비),비수익노선 16억원(시비) 등 196억원에 이른다"며 "더 이상의 추가지원은 어렵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노사간의 협상테이블이 마련되면 대구시도 참가해 준공영제 시행시기 및 업계의 구조개선 등에 관해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대구시는 파업장기화에 대비, 27일부터는 전세버스 1000여대를 추가로 대체투입키로 하고 24인승 이상 차량의 임시 유상운송사업 신청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해 대구경실련.대구흥사단 등 시민단체들은 "이번 버스파업은 정당성이 결여된만큼 시급히 철회해야 할 것"이라며 노사 모두를 비판하고 나섰다. 임금협상 과정에서 시민중재위원회에 참여했던 이들 시민단체들은 성명을 통해 "시내버스 노사가 파.업을 통해 시민을 볼모로 잡고 대구시의 재정지원을 타내려는 속셈"이라고 비난했다.

한편 파업 이틀째인 26일에도 대체버스의 운행차질 등으로 시민들은 하루 종일 불편을 겪었다.

시민 홍모(45.대구시 북구 읍내동)씨는 "750번 버스의 노선에는 대체버스도 투입되지 않아 비싼 택시를 타고 도로정체에 시달리고 있다"고 호소했다.

특히 석가탄신일인 26일 팔공산 동화사 등 주요사찰 일대에는 사찰을 찾은 신도들과 나들이 시민들이 모두 차를 몰고 나와 하루 종일 극심한 체증이 빚어졌다.

정기환.홍권삼 기자 <einbaum@joongang.co.kr>
사진=조문규 기자 <chom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