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센터 우리 동네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원전센터 유치청원이 이달 말 만료되는 가운데 일부 지역에서 유치 움직임이 가시화하고 있어 주목된다.

전북 군산시 소룡동 주민 40여명은 원전센터 유치를 위해 지난 19일 '소룡동 발전협의회'(위원장 조현창)를 구성하고 주민들을 상대로 서명작업에 들어갔다.

조현창 위원장은 "낙후된 지역 개발을 위해 원전센터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며 "접수 마감일까지 소룡동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주민 1만4000여명 중 청원 요건인 3분의 1 이상의 서명을 받겠다"고 말했다.

고창 지역에서는 바닷가에 인접한 해리면 광승리 지역 주민들을 중심으로 유치 움직임이 활발하다.

이들 주민은 '해리면발전협의회'를 구성하고 역시 주민을 상대로 서명작업을 진행 중이다. 20세 이상 주민 3300여명 가운데 23일 현재 1200여명의 동의를 받았다.

전남 영광군 경제살리기협의회도 지난 12일부터 영광원자력발전소가 있는 홍농읍 주민들을 대상으로 원전센터 유치 서명작업을 벌이고 있다. 협의회는 이미 유권자의 절반이 넘는 3000여명이 동의했다고 밝혔다.

경북 울진군 근남면.기성면 주민들로 구성된 울진발전포럼(총대표 황지성)도 지난 2월부터 원전센터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이 모임의 장창수(47)총무팀장은 "지역 발전을 위해 원전센터 유치가 필수적이라고 판단했다"며 "지금까지 3000여명의 서명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들 주민은 원전센터 유치의 전제조건으로 ▶지역발전기금 지원 약속▶한국수력원자력 본사 이전 등을 내걸고 있다.

한편 '핵폐기장 백지화 범부안군민대책위원회'(부안 대책위)와 전북 고창.전남 영광 등 전국 7개 지역 주민 300여명은 24일 오후 정부 과천청사 앞에서 '핵 발전소 신규 승인 저지 및 핵폐기장 추진 중단'등을 요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부안 핵폐기장 반대운동 이후에도 정부가 핵폐기장 건설계획에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며 "지역주민과 환경단체가 연대해 공동투쟁을 전개하겠다"고 말했다.

◇원전센터 부지 확정 절차=유치를 희망하는 읍.면.동 지역 민간단체가 주민 3분의 1 이상 동의를 얻어 유치청원을 할 수 있다. 산자부는 청원한 시.군을 대상으로 9월 15일까지 예비신청을 받고, 해당 시.군은 찬반 주민투표를 한다.

주민투표에서 유치 찬성이 가결된 시.군을 대상으로 11월 30일까지 본신청을 받는다. 산자부는 이들 중 심사를 거쳐 연말까지 부지를 최종 확정한다.

전주.울진=서형식.홍권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